A Survey on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mong the Citizens of Seoul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 유계숙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
  • 유영주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소장)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 family concepts and values a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using data from a sample of 999 residents aged 14 to 89 years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mily concepts of the subjects imply marital and/or parent-child relationships with normative gender role. People tend to regard divorced, remarried, and adopted members as famines, while classifying gay/lesbian couples, members living together in a communal fashion, and single households into nonfamily groups. People evaluate that the current Korean family doesn't adequately meet the functional needs of families in emotional support, solidarity, recreation, leisure, social and economic security, and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ulture. Mor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자(1979). 여대생의 가족의식에 관한 고찰: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17(2), 57-81
  2. 김경신(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 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3. 김병훈, 정영윤(1983). 심리학. 서울: 박영사
  4. 김순옥, 조희선, 류경희, 유현정, 이나미(1995). 가족이기주의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2), 68-77
  5. 김주수, 김희배(1986). 가족관계학. 서울: 학연사
  6. 박민자(1995). 가족의 의미.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경문사
  7. 박혜인(1989). 한국여성의 가족주의가치 분석: 대구, 경북 지역의 도시, 농촌 비교. 효성여대 여성문제 연구, 17
  8. 박혜인(1990). 한국가족의 변화와 가족가치관. 가정학연구의 최신정보 III: 아동학, 가족학. 서울: 교문사
  9. 신수진(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유영주(1990). 한국가족의 기능 분석: 가족내 행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유영주, 김경신, 김순옥(1996). 가족관계학. 서울: 교문사
  13. 정현숙, 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14. 조은숙, 옥선화(1995). 가족상 연구의 접근법 및 그적용. 대한가정학회지, 33(1), 111-123
  15. 최재석(1965).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개문사
  16. 최준식(1998). 한국의 종교, 문화로 읽는다 1 : 무교, 유교, 불교. 서울: 사계절
  17. 함인희(1995). 사회변화와 가족.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 경문사
  18. 흥은표(1984). 한국 도시가족원의 가족 기능에 대한 기대도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Bernardes, J. (1988). Founding the new 'family studies.' Sociological Review, 36
  20. Cheal, D. (1991). Family and the state of theory.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1. Eysenck, H. J.(1964). The psychology of politics
  22. Freedman, J. L., Sears, D.O., & Carlsmith, J. M.(1981). Social psychology(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3. Galvin, K. M. & Brommel, B. J. (1986).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Glenview, IL: Scott, Foresman and Co
  24. Gubrium, J. & Holstein, J. (1990). What is family? Mountain View, CA: Mayfield
  25. Hess, R. & Handel, G. (1959). Family worl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6. Klein, D. M. & White, J. M. (1996). Family theories: An introduction. Thousand Oaks,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