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Household Workspace Between Traditional Waga and Choga in Jeju - Focused on the Housing Authorized as Historical Preservation Units -

제주도 전통 와가(瓦家)와 초가(草家)의 가사노동공간에 관한 비교 연구 - 민속자료로 지정된 가옥을 중심으로 -

  • 이정림 (제주관광대학 실내건축과) ;
  • 김봉애 (제주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basic information in comparison of workspace of traditional housing between traditional Waga and Choga in Jeju.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ix Waga (roofing tee system), authorized as Jeju Folklore Materials and five Choga (roofing thatch system), authorized as National Major Folklore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usehold workspaces in Waga were separated by three places: Jungji, Chatbang, and Gopang. In Choga, it was separated by two places, Jungji and Gopang. 2 As a number of Jungji, Waga had one, which meant that two or more generations shared the kitchen facilities. Choga, it had one or two Jungji, which meant that each generation used different kitchen facilities. 3. functional space of division Waga was specific. So, meal preparation was done in Jungji, and dining was done in Chatpang. However, in Choga, both meal preparation and dining were done in Jungji. 4. The sequence of space, in the JungjiGeriBulDong style, which Jungji was located in the detached building, showed that the circulation directs: Gopang->Sangbang->Chatbang->Madang->Jungji. AnGeriJungji style, which Jungji was located in the main building, showed that the circulation directs: Gopang->Sangbang(->Chatbang)->Jungji. 5. In the size ratio of household workspace to whole size of the house, Waga occupied 30%, and Choga occupied 21%.

(1) 와가는 안체에 정지가 있는 안거리 정지형과, 정지 전용건물이 있는 정지거리 별동형의 두가지로 나타났고, 초가는 안거리 정지형만 나타났다. (2) 가사노동공간은, 와가에서는 조리공간인 정지, 식사공간인 챗방, 저장공간인 고팡이 세 곳으로 나타났고, 초가에서는 정지와 고팡만 있고 챗방은 존재하지 않았다, (3) 정지 수는, 와가는 1개로 부모세대와 기혼자녀세대간에 공동취사가 이루어졌으며, 초가는 1~2개로 기혼자녀세대는 이웃에 분가하여 독립적인 생활을 하였다. 밖거리에 정지가 있는 두 개의 초가에서 안.밖거리 개별취사를 한 경우는 고용인이나 임차인이 기거하는 경우이었다. 고팡 수는, 와가는 1~3개이고, 초가는 1~2개로 와가의 고팡수가 초가보다 많았다. (4) 공간의 기능분화는 와가에서 뚜렷하게 나타나 정지에서 음식을 조리하고, 챗방에서 식사행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초가는 정지에서 조리와 식사행위가 이루어져 와가에 비해 낮은 분화수준을 나타냈다. (5) 공간별 동선관계는 와가와 초가의 차이는 없고, 정지거리 별동형은 고팡->상방->챗방->마당->정지의 동선으로 나타났다. 안거리 정지형은, 와가는 고팡->상방->챗방->정지의 동선으로 나타났고, 초가는 공팡->상팡->정지로서, 정지거리 별동형 와가의 동선이 가장 길었다. (6) 가사노동공간의 면적 비율은, 와가는 전체 건물면적 중 평균 30%를 나타냈고, 초가는 21%로 와가보다 9%정도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주, 김상희(1997). 현대주거학. 교문사
  2. 강영환(1993). 한국 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3. 강행생(1985). 제주도 안 . 밖거리형 살림집의 공간구성에 관한 조사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석윤(1996). 19세기 제주도 민가의 변용과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영식(1996). 제주 주택의 생활공간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용집(1983). 한국 전통 주거 건축의 공간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숙(1993). 제주도 가정의 혼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송병언(1998). 생활문화로 본 제주민가 고찰.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송성대(1990). 한국 도서지방 초옥민가의 지역성.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경희, 윤정숙, 홍형옥(1994). 주거학개설. 문운당
  11. 이민섭(1963). 한국 주거 형태 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정림, 김봉애(2001). 제주도 민속자료로 지정된 와가의 가사노동공간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12(3)
  13. 이희봉 역(1988). 참여관찰방법. 대한교과서
  14. 제주도건축사회(1992). 제주도 주거건축의 향토성에 관한 연구. 제주건축, 2
  15. 제주도문화공보담당관실 편(1987). 제주도민속자료. 제주도
  16. 제주도지편집위원회(1996). 제주의 민속IV. 제주도
  17. 조성기(1984). 한국 남부 지방의 민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99건축문화의 해 제주지역추진위원회(1999). 제주의 건축. 상지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