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V) - 구룡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V) - Adequate Number of Plots for Tree and Shrub Strata in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at Guryongsan Area -

  • 박인협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서영권 (순천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발행 : 2002.03.01

초록

무작위표본추출법에 의한 산림군집구조 조사시 교목층과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혼효율이 비교적 높은 구룡산 상금정계곡 활엽수혼효림군집의 교목층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각각 10m$\times$10m, 5m$\times$5m 크기의 조사구를 15개씩 설치한 후 종수-면적 곡선, performance curve 등을 적용하였다. 종수-면적 곡선에의한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0개 이상이었다. 교목층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해지며, 조사구수 8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이었다 교목충의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7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 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교목층 전체 조사구수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이상,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관목층의 경우, 종수-면적 곡선에 의한 적정 조사구수는 일반적인 수준에서 5개 이상이었으며, 보다 정확성을 요구할 경우 12개 이상이었다. 관목충의 상대중요치에 의한 performance curve를 작성한 결과 조사구수 4개 이상에서 우점종과 준우점종의 구분이 뚜렷하였으며, 조사구수 13개 이상에서는 준우점종의 순위가 일정한 경향으로 유지되었다. 관목층 종다양도는 조사구수 6개 이상에서 비교적 일정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군집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전체 조사구수 15개의 종다양도와 0.05이내의 차이를 보였다. 관목층 전체 조사구와의 유사도지수는 조사구수 5개 이상에서 80%, 9개 이상에서 90% 이상이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우점종과 준우점종이 구분되는 일반적인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과 관목층 모두 대체로 5개, 준우점종 내에서의 순위까지 구분되는 보다 정화겅을 요구하는 수준의 적정 조사구수는 교목층 10개, 관목층 13개 정도이었다.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in Guryongsan area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adequate number of plots of tree and shrub strata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 Fifteen 10m$\times$10m plots were set up in the tree stratum and fifteen 5m$\times$5m plots were set up in the shrub stratum. Species-area curves and performance curves were made from vegetation analysis of the plots. In tree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ts h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en.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tree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eight. In tree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even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ay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same percentage in number of species was five .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a given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plots produced less than the half of the percentage increase in number of species was twelve. In shrub stratum.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dominant species was distinguished from the subdominant species was four. In shrub stratum, the minimum number of plots where the subdominant species we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was thirteen. In shrub stratum, the difference of species diversity(H') between six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was less than 0.05. Similarity index was more than 80% between fiv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and more than 90% between nine or more plots and total fifteen plots. It may be given as a conclusion that adequate number of 10m$\times$10m plots for the tree stratnm was about 5 in general acse and 10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and that the adequate number of 5m$\times$5m plots for ahrub stratum was about 5 in general case and 13 in case of requiring more accurac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인협. 문광선(1996)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V)-오대산국립공원 지역 젓나무-활엽수 흔효림군집 관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환경생태학회지 9(2): 197-201
  2. 박인협, 문광선(1995)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lll)-주왕산 소나무림의 관목층적정 조사구 면적-. 응용생태연구 8(2): 150-153
  3. 박인협 . 류창희 , 조우(1994) 산림 군집구조 조사를 위 한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II) -덕유산지역 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 면적-. 응용생태연구 7(2):187-191
  4.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93) 산림군집구조 조사를 위한 조사구 크기에 관한 연구(l)-소백산지역 활엽수혼효림군집 교목층의 적정 조사구수-. 응용생태연구 6(2): 162-167
  5. Brewer, R. and M. T. McCann(1982) Laboratory and field manual of ecology. Saunders College Pub. ,New York, 269pp
  6.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Company Publ., Iowa, 194pp
  7. Curtis, J. T. and R. R.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8. Monk, C. D., G. I. Child and S.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9. Pielou, E. C.(1977)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16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