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Changes of Korean Turnip Dongchimi Innoculated with Leuconostoc citreum IH22 during Fermentation

순무 동치미 제조시 젖산균 접종이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이혜정 (가천길대학 식품영양과) ;
  • 오순덕 (고려대학교 보건대학 식품영양과)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is study was examined in the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urnip Dongchimi when innoculated with Leuconostoc citreum IH22 and Korean turnip Dongchimi. Both of Dongchimi were at room temperature for first day and at 4$\^{C}$ from 2nd to 28th day. The pH was somewhat lower in Korean tulip Dongchimi innoculated with Lecconostoc citreum IH22 than non-treated Dongchimi. As fermentation proceeded titratable acidity of both Korean turnip Dongchimi significantly increased but Korean turnip Dongchimi innoculated with Leuconostoc citreum IH22 was not changed from 21 th day to B8th day. The patterns of microfloral changes of both Dongchimi were similar during fermentation and the changes were increased in the number from the beginning, but they were rapidly decreased after the optimum ripening period. The hardness and fractureability of non-treated Dongchimi decreased rapidly after 14day of fermentation followed by a little increased until 28th day also Korean tulip Dongchimi innoculated with Leuconostoc citreum IH22 decreased gradually as the fermentation progressed. The evaluation of sensory qua] its of both of Dongchimi showed that the sour taste and fresh taste were similar but carbonated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turnip innoculated with Leuconostoc citreum IH22.

김치에서 분리된 Leuconostoc citreum IH22를 순무에 접종한 동치미와 순무동치미의 저장 중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두 시료의 pH변화는 저장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젖산균 접종 동치미의 pH 감소는 control에 비해 감소의 속도가 빠른 경향을 나타냈다. 2. 총산도의 변화는 저장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은 두 시료 같았으나 젖산균 접종 동치미는 저장 21일 째부터는 변하지 않았다. 3, 총균수는 두 시료 모두 21일에 최대 균수를 보인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젖산균수는 두 시료 14일에 가장 높다가 21일 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물성도의 변화에서도 control은 경도와 파쇄성에서 저장 14일 정도에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였고, 젖산균 접종 동치미는 저장 기간과 함께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6. 관능검사 결과 순무 동치미와 젖산균 동치미는 저장 기간 동안 신맛, 시원한 맛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답했고, 탄산미와 기호도는 순무 동치미가 저장 14일 때가 젖산균 접종 동치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 특성에서 접종한 것과 control과 차이가 있는 항목은 탄산미와 기호도가 1% 수준의 유의차를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성원, 조동욱, 박완수, 장명숙 : 동치미의 발효 숙성에 미치는 소금 농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7(1), 11-18 (1995)
  2. 김동희, 전윤희, 김우정 : 동치미액 제조를 위한 발효 기간 단축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6(6), 726-732(1994)
  3. 이매리 : 동치미의 맛 성분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4. 천종희, 이혜수 : 김치의 휘발성 유기산과 이산화탄소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8(2), 90-94 (1976)
  5. 이동선, 이영순 : 동치미의 발효중 Co2 발생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6), 1021-1027 (1997)
  6. 김미리 : 품종별 순무 김치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한국조리과학회지, 16(6), 568-576 (2000)
  7. 심선택, 경규항, 유양자 : 김치에서의 젖산균 분리 및 이세균들의 배추 액즙 발효, 한국식품과학회지, 22(4), 373-379 (1990)
  8. 강상모, 김혜자, 이철수, 양차범 : 김치의 내산성 균주를 이용한 산패 지연 및 관능 향상에 관한 연구, 김치의 과학, 137-157, 한국식품과학회(1994)
  9. 이갑상, 신용서, 한국식품과학회지, 30(6), 1399-1403 (1998)
  10. 홍석인, 박완수, 변유량 : 고압이산화탄소에 의한 Leuconostoc sp.의 살균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9(6), 1202-1207 (1997)
  11. 특허청구서 1999-0008008 : 주식회사 베지퀸.(1998)
  12. 世宗令撰 兪孝通(朝鮮)外 : 鄕藥集成方 菜部上品 卷第八十五, 院書林杏 (1942)
  13. 齊民要術卷三 : 蔓菁第十八
  14. 朝鮮太藥 許埈等 編著 : 東醫?鑑 湯液篇. 卷之二(二十七) 침구편 (조선시대 연대 비상)
  15. 식품성분표 5차 개정판 :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1996)
  16. 순무의 효능과 순무 김치에 관한 연구 : 한국식품개발연구원(2000)
  17.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 한국의 전통 음식, 교문사, 437 (1991)
  18. 권수미, 김용진, 오훈일, 조도현 : 인삼을 첨가한 동치미 쥬스 발효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 고려인삼화학회지, 20(3), 299-306 (1996)
  19. 강근욱, 손현주, 김우정 : 동치미의 발효 중 화학적 및 관능적 성질의 변화, 한국식품과학회지, 23(3), 267-271 (1991)
  20. 지옥화 : 염도를 달리한 무 김치 (짠지, 동치미),의 숙성기간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산의 변화, 충남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1989)
  21. 김일경, 신승렬, 이주백, 김광수 : 인삼과 솔잎 첨가에 따른 동치미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6(4), 575-581 (1997)
  22. 육철, 장금, 박관화, 안승요 : 예비 열처리에 의한 무김치의 연화방지 한국식품과학회지, 17(6), 447-453 (1985)
  23. 이철우, 고창영, 하덕모 : 김치 발효 중의 젖산균의 경시적 변화 및 분리 젖산균의 동정, 산업미생물학회지, 20(1), 102-109 (1992)
  24. 이현중, 백지호, 이문, 한홍의, 고용덕, 김홍재 : 온도 강화에 의한 김치 발효의 유산균 군 집의 특징, 한국미생물학회지, 31(4),346-352 (1993)
  25. 민태익, 권태완 :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소금 농도의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16(4), 443-450 (1984)
  26. 김미리, 박한용, 전병문 : 가을 무 품종 별 깍두기 무 절임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0(1), 25-31 (2001)
  27. 오훈일, 권수미, 신태선 : 인삼을 첨가한 동치미 쥬스 발효중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고려인삼학회지, 20(30), 307-317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