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olyphenols Treatment from Pine Needle on the Inhibition of Aflatoxin Production in Rice and Corn

쌀, 옥수수에 대한 솔잎 Polyphenols 처리가 Aflatoxin 생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While rice and corn were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90 days the degree of aflatoxin production was measured without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 The amount of aflatoxin production of rice and corn after 30 days was 01.1 and 0.3 ppb, respectively. The degree of aflatoxin production increased rapidly with increasing sto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optimum conditions of aflatoxin production were 25 ∼30$\^{C}$ and 80% humidity. The degree of aflatoxin production in corn was higher than in rice under the same conditions. Rice and corn were treated with 0∼0.05%(w/w) of methyl alcohol (MeOH) extract and polyphenol (PP) group materials individually respectively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s the result, the inhibition effect of aflatoxin produc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treatment. It appeared as follows: catechin (CT)

쌀과 옥수수를 온습도의 조절 없이 상온에서 90일간 장기 저장하며 aflatoxin 생성 정도를 측정해 본 결과 쌀과 옥수수에서 공통적으로 저장 30일 이후 각각 0.1, 0.3 ppb의 aflatoxin이 검출되었다. 그러나 저장 온도 및 습도가 상승할수록 aflatoxin 생성 정도는 비례적으로 급속한 증가추세를 나타내어 이들 시료에서 aflatoxin 생성 최적 온습도는 각각 25~3$0^{\circ}C$, 80% 내외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동일한 조건하에서 상대적으로 쌀보다는 옥수수에서 그 생성 정토가 심각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aflatoxin 생성 최적조건인 온도 3$0^{\circ}C$, 습도 80%의 조건하에서 쌀과 옥수수에 대하여 MeOH 추출물과 polyphenol성 물질들을 각각 0~0.05% (w/w) 단독처리하여 저장기간에 따른 aflatoxin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전체적으로 그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상대적으로 aflatoxin 억제능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류별로는 catetchin (CT) < MeOH extract < polyphenol(PP) < flavonoid(FN)의 순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송효정 (1993) 알기 쉬운 가정한방 동의보감. 국일문화사, p.114
  2. 문화방송국 (1988) 한국 민간요법대전, 금박출판사, p.121
  3. 임웅규, 유등자, 이재영 (1996) 솔잎 건강법. 오성출판사, p.68
  4. 최경숙, 박형국, 김정환, 김용택, 권익부 (1998) 리기다송과 적송잎 정유의 향기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0, 769-773
  5. 이민수 (1985) 송엽의 항산화물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Boo, Y.C., Jeon, C.O. and Oh, J.Y. (1994) Isolated of 4-hydroxy-5-methyl-3[2H]-furanone from pine needles as an antioxidative principle. Agri. Chem. Biotech., 37, 310-314
  7. 국주희, 마승진, 박근형 (1997) 솔잎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한국식품과학회지, 29, 204-210
  8. 양 일 (1993) 솔잎으로부터 분리한 트립신 저해제의 억제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문정조 (1993) 솔잎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농축 석사학위논문
  10. 강윤한, 박용곤, 하태열, 문광덕 (1996) 솔잎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 간장의 효소 및 간조직 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 374-378
  11. 강윤한, 박용곤, 하태열, 문광덕 (1996) 솔잎추출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혈청과 간장 지질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 367-378
  12. 이윤형, 신용목, 차상훈, 최용순, 이상영 (1996) 솔잎(Pinus strobus) 추출물을 함유한 건강식품개발.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5, 379-383
  13. 김동대, 윤대현, 최 면, 임경자, 주진순, 이상영 (1991) 솔잎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 지방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화학회지, 1, 47-51
  14. 이상영 (1989) 식품첨가물 및 향신료. 한국식품연구문헌총람(4), 한국식품과학회, p.414-420
  15. 김덕숙, 김경이, 이근보 (2002) 솔잎으로부터 polyphenols의 분리 . 정제.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in press
  16. 김덕숙, 김경이, 이근보 (2001) 솔잎으로부터 flavonoids 및 catechins의 분리. 정제. 서일대학 학술연구비 지원과제 보고서
  17. Hutclines, J.E. and Hagler, W.M. (1983) Rapid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aflatoxins in heavily contaminated corn. J. Assoc. Off. Anal. Chem., 66, 1458-1463
  18. Thiel, P.G., Stockenstrom, S. and Gathercole, P.S. (1986) Aflatoxin analysis by reverse phase HPLC using post-column derivatization for enhancement of fluoresence. J. Liquid Chromatography, 9, 103-108 https://doi.org/10.1080/01483918608076625
  19. 원종숙 (1999) 솔잎 추출물의 기능성과 솔잎 향미유의 제조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