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Standard Bodytype for Korean Women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years old(Part I)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High-frequency type and the High-frequency range-

18~24세 한국인 여성의 표준체형에 관한 연구(제1보) -다빈도유형 및 다빈도구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이정임 (배재대학교 의류패션학부) ;
  • 남윤자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ndard of bodytype which offers various data with regard to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body, and which offers the criterion for the sizes and shapes to interpret various bodytypes, to estimate filling, and to construct ready-made clothing. In this study, standard bodytype was defined as a typical type with beautiful proportion and shape which a large number of people have, too. In order to continue this study, there were two ways of analyzing bodytypes of subjects in the view of statistics and beauty. We primarily carried on statistical analysis in this report. Taken as a sample, the subjects were ninety-seven females who wer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years o1d. They were measured on November 1999. The data of seven hundred and few females, 18∼24 year-old, from the National Somatometry Survey of 1997 were used for analysis, too. Three kinds of classification method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first method was based on the lateral view of the body, the second was based on the Factor and Cluster analysis of the photographic measurements of each of the anterior and lateral body, and the third was based on the Factor and Cluster analysis of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of the whole body. From the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R hrer Index the difference of width, the difference of depth, the proportion of height and head height, the High-frequency Proportion(H.P.)range were selected. The straight type from the lateral view, High-frequency type from each method, and subjects in H.P. range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the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roper to base on the size and shape of subjects in H.P. range to analyze the standard bodytype.

본 연구에서는 기성복 제작과 체형해석에 필요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표준체형의 개념을 다빈도 구간에 속하면서 아름다운 크기와 형태, 프로포션을 갖는 체형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다수의 피험자가 속해 있는 H.P.구간을 밝히고, 각 체형 분류 방법에 의해 제시된 다빈도 유형 및 바른체형 유형, H.P. 구간 피험자의 체형이 각각 전체 피험자 집단의 체형을 대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체형 분류 방법에 의한 다빈도 유형이나 바른체형 유형을 기준으로 표준체형에 접근하기보다는, H.P. 구간 피험자 집단의 체형특성을 기준으로 표준체형에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표준체형을 도출해 내기 위해 선행 체형 분석 방법에 의해 분류된 다빈도 유형 및 바른체형 유형과 다빈도 구간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빈도 형태에 대해 먼저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준 형태를 파악한 후 표준 치수를 찾아내는 방법을 통해 표준체형의 형태적 특징에 대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제2보에서는 첫째, 사진평가에 의한 미적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 둘째, 체형에 대한 미적분석 결과를 본보에서 제시한 통계적 분석 결과와 합하여 표준프로포션과 표준체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인여자 기성복의 치수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공민희
  2. 국민표준체위 조사결과에 따른 체형분류 연구 기술표준원
  3.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여대생의 의복설계를 위한 체형분류 및 인대 제작에 관한 연구 권숙희
  4.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남성복의 치수규격을 위한 체형분류 김구자
  5.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여성 상반신의 측면 형태에 따른 체형연구 남윤자;김은숙(외 2인)
  6.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실루엣에 의한 한국여성의 체형분석 남윤자
  7.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우리나라 중년기 여성의 체형과 의복치수규격에 관한 연구 손희순
  8. 영한사전 시사영어사
  9.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년여성 기성복의 치수 적합성에 관한 연구 이경미
  10.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성인비만여성의 체형특성 및 기성복 치수체계에 관한 연구 이진희
  11.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여성 체형의 형태적 분류 및 연령 증가에 따른 변화 최유경
  12. 한국의류학회지 v.23 no.4 성인여성의 정면 체형별 사이즈스팩의 제안 최유경;이순원
  13. Fabulous Fit Judith Rasband
  14. The Second Skin Horn, Marilyn J.;Gurel, Lios M.
  15. The Perfect Fit Singer
  16. 立體構成の理論と實技 神田美年子;近藤れん子;磯上育子;藤前公子
  17. ボデイ-自分でつくる 篠崎彰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