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건조 및 염 환경에 우점종으로 분포하고 있는 명아주과 식물의 염 및 무기 영양 농도에 다른 생리적 적응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염습지에 널리 분포하는 칠면초(Suaeda japonica),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및 채소로 재배되는 근대(Beta vulgaris var. 챠침)를 재료로 하여 염 농도 (0, 50, 100, 200, 400 mM NaCl) 및 무기 영양염 농도(Hoagland 용액의 1/1, 1/5, 1/10배액)를 달리하여 식물의 엽생장과 질소, 무기 이온, 전기 전도도 및 삼투조절물질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3종 명아주과 식물은 무기영양 및 염의 농도변화에 대해 식물체에 상당량의 염을 축적하였으며, 높은 내염성 기구를 통해 400 mM NaCl 처리에서도 현저히 생장을 촉진하는 호염성의 퉁퉁마디와 200 mM NaCl 처리까지 약간의 생장 촉진을 보이는 근대 및 높은 내염성을 가지면서 50 mM NaCl 이상 처리구에서 약간의 생장 저해를 보이는 칠면초의 세가지 염내성의 종 특성을 보였다. 무기이온의 동태에 있어서 3종 식물은 무기 영양 및 염 농도와 무관하게 체내에 소량의 수용성 Ca을 함유하였고(<10μM/g plant water), K이온은 염 농도가 증가함에 다라 다소 감소하였으며, Na+과 Cl-은 배지의 무기 영양과는 무관하게 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총 질소 함량은 무기 영양 및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전기 전도도와 삼투몰농도는 무기영양보다 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Glycinebetaine과 proline의 함량은 각각 0.2∼2.5 μM/g plant water와 0.1 ∼ 0.6 ㎛M/g plant water였고, 50mM NaCl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보였다.
Three species of Chenopodiaceae, i.e. Suaeda japonica, Salicomia herbacea, Beta vulgaris var. cicla,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rough inoic balances and osmoregulation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salt gradients. Plats were harvested in two weeks from treatments with salt gradients (0, 50, 100, 200 and 400 mM NaCl) and mineral nutrition gradients(1/1, 1/5, 1/10 dilutions of Hoagland solution). Plants were analyzed for growth responses, ionic balances, osmolalities, conductivities, glycinebetaine and proline contents quantitatively. Three plants of Chenopodiaceae accumulated slats into tissues unlike some salt sensitive species, and showed unique adaptation patterns to overcome saline environments, i.e. strong growth stimulation for Salicomia herbacea, growth negative tolerance for Suaeda japonica, and growth positive tolerance for Beta vulgaris var. cicla. The absorption of inorganic Ca/sup 2+/ ions was inhibited remarkably due to the excess uptake of Na+ with increasing salinity. The K+ content in plants was significantly reduced with increasing salinity. Total nitrogen content was reduced as mineral nutritions and salinity increased. Conductivity and osmola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salinity regardless of mineral nutritions. The ranges of glycinebetaine and proline contents were 0.2∼2.5 μM/g plant water and 0.1∼0.6μM/g plant water,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