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ification of Water Contaminated with Synthetic Detergent by a Wild Strain of Oenanthe javanica

미나리에 의한 합성세제에 오염된 물의 정화효과

  • 김종규 (계명대학교 자연과학부 공중보건학전공)
  • Published : 2002.03.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water purification by a wild train of Oenanthe javanica DC. Three commercially available dishwashing detergents and a standard surfactant,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LA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 was done in 1.5 ι transluscent aquariums. The plants were distributed into various concentrations of detergents and various kinds of detergent in the separate aquariums. The wet weight of the plant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and the visual vitality of the plants also decreased in 2 days.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detergent was, and the more time the plants were exposed to the detergents, the more decrease of growth was observed. The pH value of the culture media decreased in 2 days and in 4 days, then slightly increased in 6 days. However, the pH value of the media did not return to the initial neutral level of pH in 6 days. The pH value of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the LAS remarkably increased in 6 days and increased to a neutral pH value in 18 days (p<0.01) as the pH of the other culture media. The chemical oxygen demand (COD) of the culture media gradually increased over the 4 days. A decrease of COD was observed in 6 days, but no tendency was observed between 12 and 18 days. The detergent in the culture media was high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2 days (p<0.01) and gradually decreased after this. After 6 days the remaining detergent was 12.4∼23.7% from the various levels of initially added concentration, and 22.4 ∼34.2% from the flour kinds of detergent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reduction of detergent was caused by Oenanthe javanica and the effect was significant during the first 6 days when the plants were still growing we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lant purifies contaminated water for several days and the effect could be variable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tamination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plant grows.

본 연구는 자연 식물 (미나리)을 이용하여 세제로 오염된 물에서의 정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세제로는 계면활성제 표준액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LAS)과 주방용 세제 3종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농도별 또는 세제 별로 첨가한 수조에 야생의 미나리를 수경 재배하면서 식물체의 성장과 자정 능력을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식물체의 성장 변화에 있어서 미나리의 생체 중량은 배양 2일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5) 대조군에 비하여 세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의 정도가 컸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더욱 위축되었다. 미나리 배양액의 pH는 초기의 중성에서 4일 후까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가 (p<0.05) 6일 후에는 다시 증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초기 수준으로 회복되지는 못하였다. LAS표준액을 사용한 배양액에서는 다른 세제들보다 초기에 산성의 경향이 짙게 나타났으나 6일 후에 현저히 pH가 증가하여 18일 후에 다른 세제배양액과 비슷하게 중성에 가까워졌다 (p<0.01).배양액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은 2일 후부터 증가되었으며 4일 후에도 계속 증가하다가 6일 후에 감소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12일 후부터는 감소 또는 증가하는 등 일정한 경향을 볼 수 없었다. 배양액에 잔류된 세제는 농도별 실험에서는 배양 2일 후에 매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p<0.01) 이후에는 완만한 감소를 보여 6일 후에는 초기의 12.4∼23.7%만이 잔류하였다. 세제별 실험에서는 6일 후에 세제가 초기의 22.4∼34.2%가 잔류하여 매우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p< 0.01)이 후에는 이 수준을 유지하였다. 미나리가 비교적 양호하게 성장한 6일 동안의 세제의 감소 효과가 현저하며, 이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효율은 계속 낮아졌다. 이로부터 미나리는 세제로 오염된 물을 수일 정도의 빠른 시간에 정화하는 것이 인정되며, 그 정화 능력은 물의 오염 정도나 생육 환경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장준근: 산야초 건강학, 렉서스, 서울, pp. (1997)
  2. 이정식, 윤평섭: 자생식물학, 도서출판 서일, 서울, pp. 152-156 (1996)
  3. 최영전: 한국 민속 식물, 아카데미 서적, 서울, pp. 136-139 (1992)
  4. http://www.dial.co.kr/000/가정의학/2-p191a.htm
  5. http://my.netian.com/-food70/food&nutntion.html
  6. http://www.yengnam.co.kr/clinic/ks-clinic/ks_300/38.html
  7. Rogers, H. H. and Davis D. E.: Nutrient removal by water hyacinth. Weed Science 20(5), 423-428 (1972)
  8. Wolverton, B. C. and Mcdonald R. C.: Nutritional composition of water hyacinth grown on domestic sewage. Economic Botany 32(4), 363-370 (1978) https://doi.org/10.1007/BF02907930
  9. Kim, B. Y., Kim, K. S., and Park, Y. D.: Studies on the nutrient removal potential of selected aquatic plants in the pig waste water. Korean J. Environ Agric. 7(2), 111-116 (1991)
  10. 아태환경연구원: 합성세제의 환경영향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조사연구 (1994)
  11. 김점식: 세제의 특성, 비누-세제, '93 겨울호 (1993)
  12. http://www.me.go.kr/education/class21/5-01.html
  13. 이용육: 실험기구의 재사용강화를 위한 세척 방법에 관한 소고, 한국환경위생학회지 18(2), 1-2 (1992)
  14. 홍사욱: 합성세제의 안전성에 대한 고찰, 한국환경독성학회지 5, 1-2 (1990)
  15. 구석진: 계면활성제의 악해 유발 농도와 그 증상, 한국환경농학회지 8(2), 119-127 (1989)
  16. 일본분석화학회: 유지-계면활성제, 일본분석화학편람, pp 6-11 (1991)
  17. 김종택: 환경오염공정시험법해설, 신광출판사, pp. 203-205, 378-384 (1992)
  18. 이병설, 정문호, 두옥주: 미나리에 의한 수중 중금속 Cd와 Pb의 제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1(1): 47-55 (1995)
  19. 김경민: 미나리를 이용한 계면활성성분 및 합성세제 제거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0. 권성환: 미나리를 이용한 수질정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21. 김종규: 부레 옥잠에 의한 물이 정화효과,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5(2), 115-121 (1999)
  22. 곽홍탁, 김종만: 부레 옥잠이 도시 하수의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호성여자대학교 기초과학연구 논집 6, 65-70 (1992)
  23. 김복영, 이상규, 권장식, 채규호, 윤은호: 부레옥잠에 의한 생활오수의 정화효과, 한국환경녹학회지 10(1), 51-58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