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사육에 이웅한 황토(풍화토)의 입도분리에 따른 광물성분 및 화학적 특성

Mineralogy and Chemical Properties according to Particle Size Separation of Hwangto (Reddish Residual Soil) used in Feeding of Cattle

  • 황진연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학과) ;
  • 박현진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학과) ;
  • 양경희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학과) ;
  • 이효민 (부산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학부 지질학과)
  • 발행 : 2002.03.01

초록

전북 익산지역의 한우사육에 사용한 황토를 gravel, sand, silt, coarse clay, fine clay으로 입도분리하여 각 분리된 시료에 대해서 광물성분 및 화학적 특성 등을 검토하였다 광물성분의 분석 결과, gravel과 sand에는 석영과 장석이 주로 포함되고, clay와 silt떼는 카오린광물 및 일라이트 등의 점토광물이 우세하며, 산화철광물은 fine clay에서 주로 포함된다. 주성분원소에서는 입경이 작은 시료일수록 Al, Fe, $H_2O$의 함량이 증가하여 점토광물의 함량 증가와 잘 일치하였다. 미량성분원소에서는 Zn, Rb, Sr, Ba, Pb등이 입도에 따라 큰 함량 차이를 보였다. Ba, Sr은 장석이 많은 sand에 다량 함유되어 주로 장석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래 황토 시료에 상당량 함유된 Pb 및 Sm은 입도분리된 시료에는 적은 함량을 나타내어, 입도 분리 과정에서 제거되기 쉬운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Nb, La, Th, Ce 등은 silt 시료에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 이외의 거의 모든 원소에서 점토광물의 함량이 많이 함유된 작은 입도시료에서 미량원소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 나타나 이들 대부분이 점토광물내에 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교환성양이온 함량과 산 및 알카리에 의한 용탈 원소 함량 등은 입자가 작은 점토시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축사료 등 황토의 활용에 있어서 천연상태의 황토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입도 분리에 의한 정제를 행한 미립의 점토분을 주로 사용하는 것이 황토의 이온교환성, 원소 용탈성, 흡착성, 흡수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Mineral composition and chemical properties of Hwangto (reddish residual soil) that used in feeding of cattles at Iksan, Jeollabuk-do, Korea were examined according to particle size separation such as gravel, sand, silt, coarse clay and fine clay. Mineral composition analyses reveal that gravel and sand are mainly composed of quartz and feldspars and that kaolin mineral and illite are dominant in clay and silt. Iron oxides are mainly included in fine clay. According to chemical analyses of major elements, Al, Fe and $H_2O$ contents are increased with decreasing of particle size. This trend well agrees with increase of clay minerals in smaller particles, Chemical analyses of trace elements indicate that contents of Zn, Rb, Sr, Ba, Pb significantly differ with particle sizes. Ba and Sr are included in feldspars since these elements are abundant in sand containing abundant feldspars. Pb and Sm are abundant in sample before particle size separation, but the contents a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eparation. Therefore, most of these elements appear to be existed as removable phase. Nb, La, Th, Ce are more abundant in silt. The contents of all the other trace elements tend to be increased in smaller particles containing more clay minerals. The contents of changeable cations and teachable elements in acid and alkali solutions are high in clay samples. All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using the portion of smaller particle of Hwangto for livestock feed rather than bulk Hwangto can improve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ion leaching capacity and sorption proper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의선, 황진연, 김진섭, 함세영, 김재곤(2001) 부산 북부지역 모암유형에 따른 토양의구성광물 및 화학성분. 한국광물학회지, 14, 58-72.
  2. 남기상, 조규성(1993) 암석의 풍화에 따르는 주요성분의 상대적 이동. 광산지질, 26, 67-81.
  3.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분석법. -토양, 식물체, 토양미생물-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17-124.
  4. 손용석, 김수홍, 홍성호, 이성호(1998) Bentonite 와 맥반석의 급여가 반추위내 완충능력과 발효양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21,21.
  5. 엄명호, 엄기태, 임형식(1992a) 한국의 주요 모암에서 발달된 토양점토광물의 특성과 생성학적 연구. III. 모래와 미사 중에 토양광물의 특성비교. 한국토양 비료학회지, 25, 1-7.
  6. 엄명호, 임형식, 김영호, 엄기태(1991) 한국의 주요 모암에서 발달된 토양점토 광물의 특성과 생성학적 연구. I. 조암광물과 광물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4, 1-9.
  7. 엄명호, 임형식, 김태순(1992b) 한국의 주요 모암에서 발달된 토양점토광물의 특성과 생성학적 연구. IV. 토양점토광물의 분포 및 생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5, 202-212.
  8. 엄명호, 정필균, 엄기태, 임형식(1993) 회색혈암에서 유래된 토양점토 광물의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6, 1-9.
  9. 이석훈, 김수진(2000) 유구지역 화강암질 편마암의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조성의 변화. 한국광물학회지, 13, 121-137.
  10. 정의덕, 김호성, 박경원, 백우현(1999a) 황토의 물리적 특성 및 수용액 중의 중금속 이온의 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 학회지, 8, 491-496.
  11. 정의덕, 김호성, 원미숙, 윤장희, 박경원, 백우현 (1999b) 국내산 황토를 이용한 수용액 중의 Pb, Cu, Cr 및 Zn 이온의 흡착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8, 497-502.
  12. 조현구, 박수자, 김영호(2001) 경남 고성지역 황토 현탁액의 표면화학적 특성. 대한지질학회지, 37, 515-526.
  13. 황진연, 장명익(1994)부산시 구월산의 풍화토중 점토광물의 특성 및 성인,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7, 158-167.
  14. 황진연, 장명익, 김준식, 조원모, 안병석, 강수원 (2000) 우리나라 황토(퐁화토)의 구성광물 및 화학성분, 한국광물학회지, 13, 147-163.
  15. 小山正忠, 竹原秀雄(1999) 標準土色帖. 日本色砰事業 株式會社.
  16. 岩生周一외 6인(1985) 粘土の事典. 朝倉書店, 457-458.
  17. Barnhisel, R.I. and Bertsch. P.M. (1989) Chlorites and hydroxy interlayered vermiculite and smectite. In: Dixon, J.B. and Weed, S.B.(eds.), Minerals in Soil Environments. Soil Sci. Soc. Am. Madison, Wisconsin,, USA.722 9-7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