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의 분포요인 및 보전방안

Factors Affecting the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of Migratory Waterbirds in the Southern Tidal Flats of Ganghwa Island, Korea

  • 이시완 (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Environment & Habitat Science Division, Fisheries and Ocean Canada, 4160 Marine Drive West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V7V 1N6) ;
  • 이한수 (에코텍 환경생태연구소) ;
  • 유정칠 (경희대학교 생물학과, 조류연구소) ;
  • 제종길 (한국해양연구원 해양환경기후연구본부) ;
  • ;
  • 백운기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실)
  • ;
  • ;
  • ;
  • ;
  • Colin Levings (Environment & Habitat Science Division, Fisheries and Ocean Canada, 4160 Marine Drive West Vancouver, British Columbia Canada V7V 1N6) ;
  • 발행 : 2002.04.01

초록

강화도 남단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여차리, 동막리, 선두리 및 동검리 갯벌에서 종수 및 개체수에 차이를 나타냈다. 3월과 9월에 조사된 물새류는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보다 많은 종수 및 개체수가 관찰되었다. 물새류 중에서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로 나타났으며,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개체수가 42.0~79.1%의 점유율을 보였다. 동막리 갯벌 조간대상부가 해수면에 잠겼을 경우 여차리 갯벌에 남아있는 갯벌 면적은 0.0317$\textrm{km}^2$로서 여차리 갯벌에서 이들 면적이 휴식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각 지역의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고 있는 물새류의 잠재적 식이물의 습중생물량(wet biomass)은 여차리 갯벌에서 선두 4리 지역보다 2. 5배, 동검리와 동막리 갯벌보다 각각 1.6배와 2배가 높게 나타났다. 종수 및 개체수(/0.078$m^2$)는 여차리 갯벌에서 최대 23종 및 266개체가 출현하여, 선두4리 갯벌의 10종 및 184개체, 동검리 갯벌의 11종 33개체와 동막리 갯벌의 20종 및 69개체가 출현한 것보다 높게 나타났다. 우점종인 민물도요(38.11g)의 하루 최저 취식량은 1,295 마리이고, 먹이는 주로 왕좁쌀무늬고둥(Reticunassa festiva), 서해비단고둥(Umbonium thomasi)등의 고둥류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였으며, 고둥류는 다른 지역보다 여차리 갯벌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나타냈다. 갯벌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잠재적 식이물인 저서생물의 분포, 휴식공간의 확보, 선호하는 먹이의 분포 및 일일 취식량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먹이가 풍부한 서식지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물새류의 보호를 위해서는 먹이원이 풍부하게 살아 갈 수 있는 갯벌 환경을 유지해야 한다. 갯벌의 무분별한 개발 및 매립, 방문 및 생물채취 등은 자제되어야 하며, 갯벌 환경교육 지역전문가 및 갯벌 관리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Of the four tidal flat areas(Yeocha-ri, Dongmak-ri, Sundu-ri and Donggum-ri) on Southern Ganghwa Island, the distribution of migratory waterbirds showed a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individuals and species. Higher numbers of individuals and species were observed on the Yeocha-ri tidal flat. The dominant waterbirds species at the four areas was the Dentin(Calidris alpina). This species showed an occupancy rate(42.0-79.1%) on the Yeocha-ri tidal flat, which was much higher relative to the other areas. The Yeocha-ri tidal flats were higher relative to MSL than the other tidal flats. When the Dongmak-ri tidal flat was covered by sea water, the Yeocha-ri tidal flat was 0.0317$\textrm{km}^2$ in area and on this space we observed many resting waterbirds. The biomass of the waterbirds' potential prey on the Yeocha-ri tidal flat was higher(1.6~2.5$\times$) than other tidal flats. Twenty-three species and 266 individuals were found on the Yeocha-ri tidal flat, which was higher than the tidal flats. The food of Dunlin, which was the dominant species in these four areas, was mainly Reticunassa festiva and Umbonium thomasi(Gastropoda) and Perinereis aibuitensis(Polychaeta). A Dunlin(38.11g) used to eat 1,295 individuals of these food items for daily basal energy. Gastropod, its density was highest on Yeocha-ri tidal flats. The distribution of waterbirds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os, space and safety of resting site. We suggest that the environments of tidal flats, which are rich foraging habitats, are important factors for conservation of waterbird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통부(1991) 首都團 新國際空港 建設事業 보고서. 306쪽
  2. 김은영, 원병오(1993) 서해안의 강화도와 영종도에 도래하는 섭금류의 생태. 경희대 조류연구보고서 4: 25-46
  3. 金恩英(1993) 西海岸의 江華島와 永宗島에 渡來하는 涉萬類의 生態.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쪽
  4. 김한별(1995) 西海岸의 三木島에 渡來하는 涉萬類의 生態.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쪽
  5. 南在祐(1997) 西海岸의 永宗島에 渡來하는 개꿩의 生態.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쪽
  6. 녹색연합, 강화도 시민연대(1998) 강화도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264쪽
  7. 朴聖根(1995) 西海岸의 永宗島에 桃來하는 涉禽類의 生態.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1쪽
  8. 수로국(1981) 영종도에서 용매도 해도. No. 311
  9. 유정칠, 이기섭(1998) 한국 서해안의 조류 현황과 보전방안. 해양연구 특별호 20: 131-143
  10. 元炳旿(1988) 韓國 西海岸의 春秋 涉禽類調査. 自然保存 62: 29-41
  11. 이시완 (2000) 西海岸 江華島 南端 갯벌에 渡來하는 涉禽類의 取食生態및 食餌物과의 相互關係.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1쪽
  12. 李正衍(1995) 西海岸의 江華島에 渡來하는 涉禽類의 生態.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쪽
  13. 제종길(1998) 자연보전 기능으로서의 생태관광 제3회 자연포렴, 한국유네스코. 47-60
  14. 한국해양연구소(1998) 갯벌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2차 년도) 보고서. 559쪽
  15. 한국해양연구소(1999) 갯벌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3차 년도) 보고서. 839쪽
  16. 해양수산부(1999) 갯벌 생태계 조사 및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연구 보고서. 860쪽
  17. 환경부(1991) '91 自然生態系 地域調査 -西海岸 千潟地(江華島 南端) 調査. 42쪽
  18. 환경부(1998) 서해안 주요 습지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봄, 가을 조사 보고서. 120쪽
  19. AWB(1993) A status overview of shorebirds in the East Asian-Australian Flyway. Internal Report No.2.; AWB East Asia Flyway Coordination Project. AWB. Kuala Lumpur, Malaysia
  20. Colwell, M.A. and S.L. Landrum(1993) Nonrandom shorebird distribution and fine-scale variation in prey abundance. Condor, 95: 94-103 https://doi.org/10.2307/1369390
  21. Evans, P.R., J.D. Goss-Custard and W.G. Hale(1984) Coastal waders and wildfowl in wint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31pp
  22. Klein, M.L(1993) Waterbird behavioral responses to human disturbances. Wildl. Soc. Bull. 21: 31-39
  23. Lee, S.W., Y.S. Kwon, J.G. Je and J.C. Yoo(1999) Benthic animal of Kanghwa Island and gut analysis of some waterbirds. Kor. J. Orni. 6: 71-86
  24. Long, A.J., C.M. Poole.. M.I. Eldridge, P.O. Won and K.S. Lee(1988) A survey of coastal wetlands shorebirds in South Korea, Spring 1988. AWB Publ.No. 39. 163pp
  25. Rodgers, J.A. Jr., and T.S Henry(1997) Buffer zone distances to protect foraging and loafing waterbirds from human disturbance in Florida. Wildl. Soc. Bull. 25: 139-145
  26. Swennen, C., C.M. Poole, E.M. Park and J.Y. Park(1990) Study of intertidal benthos in South Korea 1989. AWB Publ, No. 63. Kuala Lumpur, Malaysis
  27. Watkins, D.(1993) A national plan for shorebird conservation in Australia. Raou Report No. 90, Australian Wader Studies Group. Victoria, Australia
  28. Zwarts, L.(1988) Numbers and distribution of coastal waders in Guinea-Bissau. Ardea 76: 4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