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Water Treatment for Nakdong River Raw Water by Continuous Ozone Process

연속식 오존처리공정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정수처리 효과

  • Lim, Young-Sung (Masancity Chilseo Water Treatment Plant) ;
  • Kang, Gwan-Ho (Division of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Lee, Hong-Ja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Seo, Dong-Cheol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Park, Moon-Su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and Landscape Architectur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 Heo, Jong-Soo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Cho, Ju-Sik (Division of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Science, Sunchon National University)
  • 임영성 (마산시 칠서정수장) ;
  • 강관호 (순천대학교 환경농업과학부) ;
  • 이홍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서동철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박문수 (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 허종수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 조주식 (순천대학교 환경농업과학부)
  • Published : 2002.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ies of the advanced drinking water treatment using ozonation process. For raw water, Nakdong River was used. By conducting continuous ozonation experimen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Efficiency of water treatment was enhanced with increase in ozone dosage. When ozone dosage of 3 mg/L was used, preozonation ot raw water reduced TDOC, ADOC, A &BDOC and NRDOC as much as 0.6 mg/L, 0.2 mg/L, 0.1 mg/L and 1.0 mg/L,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content of BDOC increased at the level of 0.8 mg/L. Ratio of UV254 absorbance to DOC content by the preozonation with 1, 3 and 5 mg/L dosage were 0.048, 0.044 and 0.037, respectively. In case of postozonation, it were 0.018, 0.015 and 0.012, respectively. When the ratios of consumpted ozone content to 1 mg of initial DOC were 1.5 and 2.3 in preozonation and postozonation treatment, respectively, the highest DOC removal rates of 25% and 32% were obtained by the continuous ozonation.

낙동강 상수원수를 대상으로 연속적 오존처리에서 오존주입농도에 따른 유기물 분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오존처리에 의한 DOE성분변화, UV254/DOC의 변화와 소비오존에 따른 DOC 제거효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입원수의 수질변화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오존주입농도가 증가할수록 DOC 처리효율도 증가되었다. 오존처리에 따른 DOC 성분변화는 전오존을 3 mg/L 농도로 처리시 TDOC, ADOC, A &BDOC 및 NRDOC는 각각 0.6, 0.2, 0.1 및 1.0 mg/L 정도 오존처리에 의하여 감소되었으나 BDOC는 0.8 mg/L 증가하였다. UV254/DOC의 분율은 오존주입농도를 1, 3 및 5 mg/L처리하였을 때 전오존의 경우는 각각 0.048, 0.044 및 0.037 이였고, 후오존의 경우는 각각 0.018, 0.015 및 0.012로 나타나 오존주입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기 DOC mg당 소비되는 오존량에 대한 DOC 제거율은 전오존과 후오존처리의 초기 DOC에 대한 소비오존량이 각각 약 1.5와 2.3일 때 각각 25%와 32%로 서 최대의 DOC 처리효율을 나타내었다. 낙동강 상수원수에 전오존을 처리할 경우 오존주입량은 초기 DOC mg당 소비된 오존이 1.5 mg 이내의 농도가 되도록 주입하구 후오존은 유입수인 모래여과수의 초기 DOC mg당 소비된 오존이 2.3 mg 이내의 농도가 되도록 조절하여 주입하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현동, 정원식 (1996) 상수 수질오염사고 대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 수도협회지, 23(12), 20-37
  2. 정진성 (1996) 상수도정책방향, 한국수도협회지, 23(12) 3-19
  3. 박송자 (1997) 수돗물에서의 미량유해물질 분석법 연구 및 함유실태조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보고서 207, 환경부, p.417
  4. 최준호 (1994) 낙동강 표류수를 원수로 한 상수처리에서의 오존산화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환경부 (1995) 오염물질 유입시의 정수처리기법 연구
  6. 지재성, 이상은 (1998) 고도정수 실용화기술 개발, Vol. I,제2단계 3차년도 연차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보고서,환경부, p.720
  7. Kim, D. Y., Hwang, D. H. and Lee, J. K. (1994) A study on advanoed drinking water treatment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16(2), 239-246
  8. 김상구, 류동춘, 박은주, 류상원, 박홍기, 김문보, 정철원, 류재익 (1996) 물금 원수의 정수처리시 전오존의 영향,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검사소 상수도연구보, 2, 3-16
  9. Rice, R. G. and Robson C. M. (1982) Biological activated carbon : Enhanced aerobic biological activity in GAC systems, J. AWWA, p.78-83
  10. Kool, H. J. and Hrubec. C. F. (1986) The influence of an ozone chlorine and chlorine dioxide treatment on mutagenic activity in drinking water, Ozone Sci. & Eng. 8, 217-234 https://doi.org/10.1080/01919518608552404
  11. Ibid (1983) Rate constants of reactions of ozone with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in water- I, Water Research, 17, 173-183 https://doi.org/10.1016/0043-1354(83)90098-2
  12. 조주식, 임영성, 이홍재, 허종수 (2001) 낙동강 상수원수의 오존처리 효과 - Ⅰ. 회분식 오존처리에 의한 수처리효과, 한국환경과학회지, 10(6), 393-399
  13. 임영성, 이홍재, 이도진, 허종수, 조주식 (2002) 낙동강 상수원수의 오존처리효과 - Ⅱ.화분식 오존처리에 의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및 조류제거 효과, 한국환경과학회지, 심사중
  14. 이형호 (1998) 고도정수처리용 고효율 오존발생장치 개발, 한국전기연구소
  15. 대구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1998) 고도정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실공정 및 Pilot Plant를 통한 연구조사
  16. 환경부 (1998) 먹는 물 수질공정시험방법
  17. 환경오염공해공정시험법 (1992) 동화기술
  18. APHA, (198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rwater, 17th ed
  19. Kasstrup, E. (1985) Activated carbon adsorption of humic substances and the influence of preozonation on such, Dissertation, Norweigian, Institute of Technology
  20. Park, Y. K. and Lee, C. H (1997) Evaluation of UFozone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in advance drinking water treatment, Environmental Research, 16(2), 187-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