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

  • Suh, Soon-Rim (Department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Bok (School Health nurse, Kyungpook Goryung Middle School)
  • 서순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 김정복 (경북 고령중학교)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a nursing program for prevention of mental disease and mental health promotion in adolescen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427 students in their first, second and third year of two middle school in K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2th to 19th, 2001.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amily support scale by Kang and the mental health assessment scale was the Symptom Check List-90-R.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OVA, and Duncan test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42.26 and the mean score of mental health was 52.24. As a subarea of mental health was analyses, the scores of obsessive-compulsive reaction and hostility were respectively higher but the scores of phobia were lower than others. Family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grade,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and educational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living in parents. the characteristic influence on the level of mental health were sex, grade, and economic status of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of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the level of mental health was revealed a significant correlation(r=-.35(P=0.001)).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found that family support was an important factor for promoting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mental health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ively, family support must be increased. Efforts to promote mental health of students are required in home and school. School authorities have to search a plans like "family support-class program" as one countermeasure to increase family support. teachers have to make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mental health constantly with participating parents.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숙. 재활강화 교육이 편마비 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1985
  2. 김관희. 중학생이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3. 김광일, 원호택. 고등학교 재학생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양대 정신건강 연구집 1983; p1-40
  4. 김은희.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인문계와 실업계 비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0
  5. 노경희. 남자고등학생의 스트레스, 가족지지, 자기효능감,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6. 박명희, 김창숙, 서영숙, 서희숙, 노현선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우울과의 상관관계, 학교보건학회지 1998; 12(2) p67-88
  7. 박소영 청소년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 박지희. 가정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9. 신은영, 김경연. 아동이 지각한 스트레스 사건, 스트레스 사건의 경험빈도, 그리고 스트레스 수준, 대한가정학회지 1996; 34(4) p33-47
  10. 안경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11. 양돈규. 부모갈등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과 비행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2. 오화선. 고등학교 남학생의 가족환경지각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13. 원호택.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정신건강연구 1991; 10, p37-50
  14. 이가언.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15. 이경순, 하양숙, 김명자, 노춘희, 양수, 이정섭, 임영숙.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2000
  16. 이경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17. 이광숙. 일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가간호역량과 정신 건강과의 관계 연구, 한국학교보건학회지 1997; 10(2), p285-295
  18. 이광자. 정신간호학, 서울: 신광출판사;1983
  19. 이길홍. 청소년기 정신장애의 임상양상 및 치료지침, 청소년논단4집 1987; p95-111
  20. 이시형. 청소년 정신건강지수 개발, 삼성생명 건강연구소, 1997
  21. 이재경.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2. 이정순. 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중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23. 이혜숙.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서울지역 남, 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24. 임미영. 한국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 예측 모형 구축, 연세대학교 간호학 박사학위논문, 1999
  25. 장영집, 박경, 박순영. 현대인의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2001
  26. 정순복. 일 도시 중학생의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계연구, 전남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27. 조은숙. 정신위생. 서울: 교학연구사;1983
  28. 한경희. 서울 시내 일부 중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와 숨은 비행과의 관계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29.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 문제론. 서울:도서출판 서원;1996
  30. 홍강의. 청소년 정신과 입원환자의 가족역동, 서울의 대정신의학 1987; 12(1), p23-40
  31. Rosella JD, Aibrecht SA. Toword an understanding of the Health satus of black adolescents ; an application of the stresscoping framework, Issues compr pediator Nurs 1993; 16(4), p193-205 https://doi.org/10.3109/01460869309078277
  32. Barnes GM & Farrell MP. parental support and control as predictors of adolescent drinking, delinquency, and related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1992; 54, p763-776 https://doi.org/10.2307/353159
  33. Barnes GM & Windle M. Family factors in adolescent alcohol and drug abuse, Pediatrician-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Health 1987; 14, p13-18
  34. Carrol ol, H. A. Mental hygiene, Englewood clitts; 1990
  35.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9; 38(5) p300-314
  36. Hymovich, D.C. In cooperating the Family into Care, Journal NYNSA 1974; 5(1), p9-10
  37. Loeber, R., & Dishion, T. Early predictors of male delinquency. A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983; 94, p68-99 https://doi.org/10.1037/0033-2909.94.1.68
  38. Parkerson GR, Michener JL, Wu RL, et al. Associations among family support, family stress, and personal funtional health statu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 1989; 42(3), p217-229 https://doi.org/10.1016/0895-4356(89)90058-9
  39. Pratt, L(1971) The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status to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71; p281-291
  40. Topalis, M & Aguilera, D. Psychiatric Nursing, 7th ed,. Louis Mosby, Saint Louis; 1978
  41. Werner K, poustka F. Typical configurations of psychosocial stress factors of psychiatrically conspicuous children and adolescent, Z kinder Jugen psychiatr 1996; 24(4), p4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