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M Electrical Resistivity Modeling in Cylindrical Coordinates

원통 좌표계에서의 전기비저항 유한요소 모델링

  • Published : 2002.08.01

Abstract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a powerful numerical modeling tool for solving various engineering problems, is frequently applied to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thanks to its capability of discretizing and simulating the shape of model with finite number of elements. Considering the accuracy of the solution and computing time in modeling of engineering problems,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physical continuity and simplify mesh system. Although there exist systematic mesh generation systems for arbitrary shaped model, it is hard to model a simple cylinder in terms of 3-D coordinate system especially in the vicinity of the central axis. In this study I adopt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for modeling the 3-D model space and define the origin of the coordinates with mathematically clear coordinate transformation. Since we can simulate the whole space with hexahedral elements, the cylindrical coordinate system is effective in handling the 3-D model structure. The 3-D do resistivity modeling scheme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s basie principle for borehole-to-surface resistivity survey, which can be a useful tool for the application to environmental problem.

유한요소법은 다양한 공학문제에 대해 수치적으로 해를 구하는 방법으로, 유한개의 요소를 이용하여 모형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모델링에 많이 적용된다. 공학에서 모델링은 해의 정확도와 계산시간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므로, 유한요소법을 이용할 경우 주어진 공간에 대해 물리적인 연속성을 가지며 간단한 방법으로 요소를 구성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유한요소법에서는 구조적으로 복잡한 대상에 대해서 체계적인 요소 구성방식이 존재하나, 기하학적으로 단순한 원통형 물체에 대해서는 원통의 중심부에 대한 묘사가 자유롭지 못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좌표변환식에서 처리할 수 없었던 좌표계의 원점을 수학적으로 정의하여 완전한 원통 좌표계에서의 유한요소법을 구성하고자 한다. 원통 좌표계에서는 모든 영역을 육면체 요소로 구성하여 유한요소법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 물체나 공간으로 표현되는 시스템의 구조해석에 효율적이다. 한편, 이 방법은 단일 시추공과 지표의 탐사선으로 구성된 새로운 방식의 시추공-지표간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며, 이를 이용할 경우 전기비저항탐사의 환경 분야에 대한 적용성을 높일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학수, 1988, 유한차분법에 의한 3차원 전기비저항 모델링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박권규, 1994,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3차원 전기비저항 모델링 및 지형보정에 관한 연구: 공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이명종, 2000, 전기비저항 탐사자료를 이용한 지하구조의 3차원 영상화: 공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 최원석, 2002, 원통 좌표계에서의 전기비저항 FEM모형 반응계산: 공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Dey, A., and Morisson, H. F., 1979, Resistivity modeling for arbitrarily shaped three dimensional structure: Geophysics, 44, 753-780
  6. Holcombe, H. T, and Jiracck, G. R., 1984, Three-dimensional terrain corrections in resistivity surveys: Geophysics, 49, 439-452
  7. Lowry, T., Allen, M. B., and Shive, P. N., 1989, Singularity removal: A refinement of resistivity modeling techniques: Geophysics, 54, 766-774
  8. Park, S. K., and Van, G. P., 1991, inversions of pole-pole data for 3_D resistivity structure beneath arrays of electrodes: Geophysics, 56, 951-960
  9. Pridmore, D. F., Hohmann, G. W., Ward, S. H., and Sill, W. R., 1981, An investigation of finite element modeling for electrical and magnetotelluric and dipole-dipole resistivity data: Geophysics, 54, 254-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