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Volume 29 Issue 3
- /
- Pages.397-406
- /
- 2002
- /
- 1226-8496(pISSN)
- /
- 2288-3819(eISSN)
A STUDY ON THE SIZE AND VOLUME OF THE PALATE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 Baik, Byeong-Ju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Mi-Ra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G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Yun-Mi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Institute of Oral Bioscience, School of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백병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미라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김재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 양연미 (전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alatal arch length, width and volume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Samples were consisted of normal occlusion in the primary dentition(50 males and 50 females) and permanent dentition(43 males and 43 females). Their upper plaster casts were used and through 3-dimensional laser scanning(3D Scanner, DS4060, LDI, U.S.A.), cloud data, polygonization, section curve, loft surface and fit and horizontal plane were made for measuring the palatal arch length, width and volume(Surfacer 10.0, Imageware, U.S.A.).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separately for males and females in each group(SPSS 1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verage distance from the fit plane to the points(tooth-tooth-palate) was greater in the permanent dentition than those of primary dentition. 2. Palatal volume was greater more than 3 times in the permanent dentition, especially it was greater in male compared to female with significance(p<0.05). 3. Palatal width of male was greater in the primary and permanent dentition but palatal length, only in the permanent dentition than that of female(P<0.05). 4.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between the palatal volume and size of posterior palatal width and total palatal length(r=0.401, r=0.450, r=0.678, r=0.654).
본 연구는 한국인의 유치열기 아동, 영구치열기의 구개의 폭, 길이, 구개의 용적, 구개 용적과 구개면적의 상관관계 등을 조사하여 남녀간의 차이, 유치열과 영구치열과의 변화 정도를 파악하고 다양한 구개의 연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정상교합의 유치열기 아동(Hellman dental age II A) 100명(남자 50명, 여자 50명)과 영구치열기의 성인(Hellman dental age IV A) 86명(남자 43명, 여자 43명), 총 186명을 대상으로 하여 제작한 상악의 석고모형을 이용하였다. 3차원 laser scanner(DS4060, LDI, U.S.A.), cloud data를 이용하여, polygonization, section curve와 loft surface, 표준평면, 수직평면 등을 얻은 후에 구개용적, 구개의 폭, 구개의 길이 등을 측정하였다(Surfacer 10.0, Imageware, U.S.A). 상수의 결정을 위해 유치열, 영구치열을 남녀별로 구분하여 결과를 구하였으며 남녀간의 차이는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표준평면과 각 치아, 치아 및 구개사이의 측정점들간의 거리는 영구치열에서 더 멀었다. 2. 영구치열에서의 구개용적이 유치열에서 보다 3배이상 컸으며 특히 영구치열에서는 여자에 비해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측정되었다(p<0.05). 3. 구개폭은 유치열과 영구치열에서 남자에서 유의성 있게 크게 나타났지만 구개길이는 영구치열에서만 유의성 있게 컸다(p<0.05). 4. 유치열과 영구치열, 남자와 여자 모두에서 후구개폭과 총구개길이가 이루는 면적 이 구개용적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0.401, r=0.450, r=0.678, r=0.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