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extbooks and an Investigation of Science Teacher's Views on 'Boiling Point' and 'Melting Point'

끊는점과 녹는점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조사

  • Kim, Seong-Su (Gim Cheon Girls’ Middle School) ;
  • Baek, Seong-Hui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Published : 2002.06.2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apparatus for boiling point and melting point in science textbooks of various curriculums were analyzed. Science teachers' view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value written in textbooks were inquired, too. Their views on the experimental apparatus, nd results of freezing point,melting point, boiling point, fractional distillation, and thermometer calibration were also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experimental apparatus for boiling point and melting point were somewhat dif-ferent with science textbooks and curriculum. The teachers' views were also variou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In the experiment of the fractional distillat ion, a large number of teachers recognized mismatch between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value written in textbooks as mistake of textbook contents or problem of experiment itself. The teachers of chemistry background take higher recognition of the requirement of thermometer calibration than those of non-chemistry background in middle school.

이 연구는 끊는점과 녹는점에 관련된 실험 장치를 교육과정의 변화와 교과서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중등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이에 관련된 실험값과 교과서에 제시된 값이 다른 경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분별 증류, 온도계 보정의 실험 장치와 실 험 결과에 대한 인식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교유고가정과 교과서의 종류에따라 끓는점과 녹는점에 관련된 실험 장치의 유형은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으며, 교사들의 인식도 전공과 근무 학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또한, 많은 교사들이 분별 증류 실험에서 실험값이 교과서에 제시된 값과 다른 원인을 교과서 내용의 잘못이나 실험 자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학교에서 온도계 보정의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화학을 전공한 교사들이 비화학 전공교사들보다 온도계 보정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무상;여수동;여환진;배준웅;이광필;이우붕;천영숙;남상일 화학교육 1997, 24, 326.
  2. 송호봉;차기성 화학교육 1996, 23, 178.
  3. 노석구;이원식 화학교육 1992, 19, 105.
  4. Lawson, A. E.; Birk, J. P. Chemistry, A Critical Thinking Approach; National Science Foundation under Grant No. TPE-9054933: United States of America,1994; p 155.
  5. 김범기;정진우;조선희;김도욱;김화숙;김효남 기초자연과학;학문사: 서울, 1996; p 120.
  6. 한정태;이근복;김노수;조찬휘 일반화학실험; 진영사: 서울, 1996; p. 15.
  7. 권영대;이길상;강영선;심문택;안세희 과학 1학년; 삼화출판사: 서울, 1966; p.99.
  8. Masterton, W. L.;Hurley, C. N.(역자:일반 화학교재 연구회) 일반화학 제3판;자유 아카데미: 서울, 1998; p.296.
  9. Ebbing, D. D.;Wrighton, M. S.(역자: 강영기 외 26인) 일반화학; 교보문고:서울, 1996; p. 445.
  10. Zumdahl, S. S.(역자: 김태린 외 15인) 일반화학; 일신사: 서울, 1995; p. 428.
  11. Masterton, W. L.;Hurley, C. N.(역자: 일반 화학 교재 연구회) 일반화학 제2판 ; 자유 아카데미: 서울, 1995; p. 273.
  12. Oxtoby, D. W.;Nachtrieb, N. H.(역자: 박영동 외 23인) 현대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1995; p. 139.
  13. 백성혜 화학교육 2000, 27, 71.
  14. Brady, J. E.;Holum, J. R. (역자: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일반화학; 자유아카데미: 서울, 1995; p. 363.
  15. 김시중;정완호;한복수;우종옥;이종면;임경배;정근화;민경덕;구창현;이광석;최돈 형;김병국;이상진;박범익 중학교 과학1; 금성출판사: 서울, 2000; p.218.
  16. 최문영,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17. 전학제;성백능;김기수;조병하 최신 이화학 대사전; 법경출판사: 서울, 1993; 751.
  18. Riddick, J. A.; Bunger, W. B. Techniques of ChemistryVolume II; Wiley -Intersci ence: New York, 1970; p 145.
  19. 송인명;이춘우;오제직;최석남;박영철;문형태;우영균;곽종흠 중학교 과학1: 교학사: 서울, 2000; p 169.

Cited by

  1. 대기 중의 증발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개념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vol.52, pp.1, 2002, https://doi.org/10.5012/jkcs.2008.52.1.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