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fter Chemotherapy in Tuberculous Pleurisy

결핵성 흉막염에서 항결핵제 치료 후의 잔여 흉막비후와 관련된 인자

  • Lee, Ki-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on) ;
  • Ahn, Jong-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on) ;
  • Seo, Kwang-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on) ;
  • Park, Jee-Hy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on) ;
  • Lee, Mi-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on) ;
  • Hwang, Jae-Cheol (Department of Radiology, University of Ulson)
  • 이기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안종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서광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지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미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황재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학교실)
  • Published : 2001.05.31

Abstract

Background : Residual pleural thickening is frequently seen following treatment for tuberculous pleurisy, and pleural decortication is performed occasionally in patients with severe residual pleural thickening. However, predictiv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re uncertain at the initial diagnosis of the tuberculous pleuris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ed factors for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t initial diagnosis. Methods : We separated 63 patients diagnosed as tuberculous pleurisy into two groups; group 1 consisted of patients without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nd group 2 comprised patients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at the end of tuberculous pleurisy treatment. We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radiological findings, pleural biopsy and characteristics of pleural fluid between group 1 and group 2. Results : The study population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the duration of symptoms before treatment and the peripheral WBC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es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pleural fluid loculation or the amount of pleural effusion s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cidence of positive AFB staining(group 1 : 8%, group 2 : 38%) and granuloma(group 1 : 30%, group 2: 62%)on pleural biopsy specimen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in group 1. Pleural fluid WBC and differential count, adenosine deaminase level, pH, protein level or glucose level did not differ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group 2 had higher LDH levels ($1370{\pm}208mg/dL$) than group 1 ($860{\pm}71mg/dL$, p<0.05). Conclusion : In tuberculous pleurisy, patients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following treatment demonstrated a higher incidence of positive AFB staining and granuloma on the pleural biopsy specimens or higher LDH level in the pleural fluid than patients without residual pleural thickening From these results, we speculate that the amount of tuberculous bacilli and granuloma are probably correlated with residual pleural thickening in the tuberculous pleurisy.

연구배경 : 결핵성 흉막염은 항결핵제 치료 후에도 잔여 흉막의 비후가 많은 예에서 관찰되며 이로 인해 흉막박피술까지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는 치료후의 잔여 흉막비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 확실히 밝혀진 것이 없다. 이에 저자는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 초기에 임상 및 흉수의 분석을 통하여 잔여 흉막비후의 예측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5월까지 결핵성 흉막염으로 확진된 6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치료 후 잔여 흉막비후가 없는 군(1군 ; 37)과 잔여 흉막비후가 있었던 군(2군 ; 26 명)으로 나누었으며, 분석 요소는 임상특징, 방사선학적 소견, 흉막생검 소견 및 흉수 검사로 양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1.임상적 특징 : 호흡곤란, 기침 및 흉통, 발열의 유무 및 증상 시작부터 치료개시까지의 기간, 말초혈액에서의 총 백혈구치는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방사선학적 및 흉막조직 검사 소견 : 흉수의 양 및 폐결핵 유무 및 진단 초기에 흉수의 소방화유무는 양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늑막 생검 조직의 현미경적 검사에서 육아종이 보였던 경우가 1군(30%)에 비해 2군(62%)이 많았다. 항산균 염색 검사에서 결핵균이 별견된 경우가 1군의 8%에 비해 2군이 38%로 유의하게 많았다 (p<0.05). 3. 흉수 검사 소견 : 흉수의 검사상 총 백혈구치 및 백혈구 감별산정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ADA 및 단백질값, 포도당치도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락트산탈수소효소치는 1군의 $860{\pm}71$(mg/dL)에 비해 2군이 $1370{\pm}208$(mg/dL)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결 론 : 결핵성 흉막염의 치료 후 잔여 흉막 비후는 흉막 생검조직에서 육아종이 있는 경우, 항산균 염색검사에서 결핵균이 발견된 경우, 흉수 검사상 락트산탈수소효소가 높은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