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ak Expiratory Flow in Normal Healthy Korean Subjects Measured by Mini-Wright Peak Flow Meter

Mini-Wright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한국 성인의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치

  • Kim, Young-Sa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Institute of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Ae-Ran (Severance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
  • Kim, Se-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Institute of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ng, 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Institute of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Ahn, Chul-Mi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Institute of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Oh, Jai-Joon (Severance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
  • Kim, Sung-K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The Institute of Chest Disease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영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 안애란 (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 ;
  • 김세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 장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 안철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 오재준 (세브란스병원 건강증진센터) ;
  • 김성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Background : Peak expiratory flow (PEF) provides a simple, quantitative, and reproducible measure of the existence and severity of airflow obstructions. Peak flow meters are designed to monitor the condition asthma patients. There are many reports showing the normal predicted value of PEF in other countries. Studies on healthy Korean adults have been performed in a relatively small sample number and a lower limit for the normal value was not reported. Therefore, an attempt to provide normal predictive PEF value with a lower limit was made. Method : The PEF(Mini-Wright Peak Flow Meter) measurements and spirometry were done in 233 men and 631 women without history of respiratory disease. All subjects were non-smokers with no respiratory symptoms. The normal predictive value and its lower limit were develop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regression equations in other reports. Results :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normal PEF predictive value(L/min) is $25.117+4.587{\times}$Age(year)-$0.064{\times}Age^2+2.931{\times}$Height(cm) in men($R^2=025$), and 146.942-$0.011{\times}Age^2+1.795{\times}$Height(cm)+$0.836{\times}$Weight(kg) in women($R^2=0.21$). The regression equation for the lower limit of this value (L/min) is $25.117+4.587{\times}$Age(year)-$0.064{\times}Age^2+1.936{\times}$Height(cm) in men, and $146.942-0.011{\times}Age^2+1.232{\times}$Height(cm)+$0.481{\times}$Weight(kg) in women. The residuals were normally distributed. The PEF in Korean males was sililar to those reported in British and Japanese subjects. The PEF in Korean females was similar to that in British subjects, but higher than the PEF in Japanese subjects. The lower limit of normal value was 71% of normal predictive PEF value in men and 76% in women. Conclusion : The normal predictive PEF value and its lower limit was measured from 233 male and 631 female asymptomatic, lifelong non-smoking participants. The normal predictive value wa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tudies on Korean subject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연구배경 : 최고호기유량은 비교적 간단하고, 반복적으로 기도폐쇄의 정도를 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치로, 최근 천식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있어 최고호기유량 측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정상 성인에서의 최고호기유량의 추정정상치를 구하기 위한 대규모 단변연구가 시행되었으나 1991년 American Lung Association에서 정한 기준을 정확히 적용하여 추정정상치 뿐만 아니라, 최고호기유량의 정규분포성을 검정하고 정상치의 하한선까지 제시한 대규모 단면연구가 시행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에서의 추정정상치를 구해 이전의 연구결과 및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비교하며, 정상치의 하한선을 구함으로써 한국인에서의 최고 호기유량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8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세브란스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정상 성인 중 과거에 폐질환을 앓은 적이 있거나, 호흡기 증상을 호소하거나 흡연을 한 적이 없는 남성 233명과 여성 631명을 대상으로 Mini Wright Peak Flow Meter와 Jaeger Master Lab의 폐기능검사기를 이용하여 최고호기유량을 측정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정상추정치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구하였다. 또한 최고호기유량의 정규분포성에 대한 검정을 시행한 후 정상치의 하한선에 대한 회귀방정식을 구하고 이를 외국 및 이전에 한국에서 시행한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 Mini Wright Peak Flow Meter를 이용하여 측정 한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추정치 (PEF : L/min)는 남성에서는 $25.117+4.587{\times}$연령(year)-$0.064{\times}$연령$^2+2.931{\times}$신장(cm)이었고($R^2=025$), 여성에서는 $146.942-0.011{\times}$연령$^2+1.795{\times}$신장(cm)+$0.836{\times}$체중(kg)이었다($R^2=0.21$).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치의 하한선은 남성에서는 $25.117+4.587{\times}$연령(year)-$0.064{\times}$연령$^2+1.936{\times}$신장(cm)이었고, 여성에서는 $146.942-0.011{\times}$연령$^2+1.232{\times}$신장(cm)+$0.481{\times}$체중(kg)이었다. 최고호기유량은 정규분포를 하였다. 남성에서 Mini-Wright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한국인의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추정치는 영국인 및 일본인의 수치와 유사하였다. 여성에서 Mini-Wright Peak Flow Meter로 측정한 한국인의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추정치는 영국인의 수치와 유사하였고 일본인의 수치보다는 높았다. 남성에서는 정상추정치의 71% 이하를 여성에서는 정상추정치의 76% 이하를 비정상적인 수치를 볼 수 있었다. 결 론 : 호흡기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성 233명과 여성 631 명을 대상으로 Mini Wright Peak Flow Meter로 최고호기유량을 측정하여 정상추정치 및 정상치의 하한선을 구하였다. 이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이전 연구결과와도 차이가 있었다.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최고호기유량의 정상추정치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