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차산업의 유통시스템화에 관한 연구

On the study of the distribution systems in the Green Tea industries

  • 기민정 (전남대학교 농업경제학과)
  • 발행 : 2001.12.01

초록

다엽의 생산은 기후나 지리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생산의 특징은 북차가 전라 남북도, 제주도, 경상남도의 농민에게는 유리한 소득작목으로 기회가 주어지고 있다. 다엽 의 생산을 통하여 생산자는 소득개발작목으로 생산시스템을 개발하고, 소비자는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율적인 소비시스템을 모색하는 과점을 통하여 유통시스템의 변화 와 발전을 고찰하고자 한다. 생산과 소비의 시스템 변화에 대응하여 유통시스템은 단순히 생산된 것을 유통시키거나 구색을 변환하여 유통시키는 방법에 더하며, 소비자의 요구를 생산자측에 전달하여 신제품 의 개발을 촉진하는 매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또한 유통시스템은 공급이 수요를 창조하는 새로운 매커니즘으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The production of the tea leaf is characteristic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farmer of the Chonnam, Cheju, kyongnam has taken the their chance of the income crops in the tea leafs. The income crops has been developed the production system by the leaf producer. The consumer has improved the conditions of the life in search of the efficiency in the consumer system. Coping with the system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er, It requires consideration from the change and extension in the distribution systems. The distribution systems has gone through with the power of creation in the demand and supp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