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Volume 26 Issue 2
- /
- Pages.193-203
- /
- 2001
- /
- 1738-9577(pISSN)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in the Elderly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
- Kim, Hyo-Jung (Department of Nursing, Kyungbuk Foreign Language Techno College)
- 김효정 (경북외국어테크노대학 간호과)
- Published : 2001.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programs which improve the health of this population. The subjects were 168 elderly people(55 years and older) who resided at home in Taegu. They were surveyed by interview using a closed- end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done from September 16 to October 16 in 2000.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Barthel Index, Muscular skeletal symptoms scale, Northern Illinois University's Health Self Rating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 PC 10.0 version for Window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As compared 65-74 years elderly group, 75-84 year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depression(F=3.17, p=.026). As compared elderly group who has own spouse, the group who has no own spouse was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depression(t=- 2.44, p=.016). 2. The aged who have more limit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t=3.93, p=.000), pain of muscular skeletal symptoms(F=5.33, p=.002) and poor perceived health state(F=17.04, p=.000) showed the higher severity of depression than the aged who have not. 3. ADL correlated negatively with depression(r=- .293, p=.000), pain of muscular skeletal symptoms correlated positively(r=.251,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correlated negatively(r=-.522, p=.000). 4. The combination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ADL explained 29.1% of the varience of depression.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1. Developing health programs is needed considering ADL, pain of muscular skeletal symptoms, perceived health status, demographic variables (age, spouse status) which have an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2. In the following study, the use of the various scale is needed which reflects physical status of the elderly in home.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시에 거주하는 가정노인으로 노인 대상자 중 55세 이상인 자, 노화에 의한 시청각 장애가 심하지 않은 자,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 연구에 참여하기로 허락한 자로 168명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00년 9월 16일부터 10월 16일까지였으며 설문지의 목적을 이해하고 면접방법에 대해 훈련받은 간호학과 학생들이 노인이 있는 가정을 방문하여 대상자를 일대일로 면접하였다. 면접자가 직접 기록하여 회수율이 100%였으며 설문지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30-40분정도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단축형 노인 우울척도(Short form Geriatric Depression Scale)(Sheikh와 Yesavage, 1986), Barthel의 Index(Mahoney와 Barthel, 1965)를 수정한 식사능력, 목욕능력, 세면능력, 화장실 사용능력 등으로 구성된 일상활동 능력 측정도구, 근골격계 증상(통증) 측정도구, North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개발한 Health Self Rating Scale를 수정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따라 서술통계방법 (실수, 백분율), t-test, ANOVA, Pear 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중 연령(F=3.17, p=0.026), 배우자 유무(t=-2.44, p=0.016)에 따라 대상자의 우울이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간 차이를 보기 위해 사후검증한 결과 75-84세군이 65-74세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무배우자인 대상자의 우울 점수가 유배우자 보다 높았다. 2. 신체적 건강에 따른 우울 정도를 분석한 결과 일상활동능력(ADL)은 6-9점(세가지 이상의존)인 경우가 10- 12점(한 두가지 의존 또는 완전독립)인 경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t=3.93, p=0.000). 근골격계 증상은 11- 13점(세 가지 이상 증상 있음), 14점 (모든 증상 있음)인 경우가 7점(전혀 증상없음)인 경우보다 우울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F=5.33, p=0.002). 지각된 건강상태는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응답한 대상자일수록 우울 정도가 높았다(F=17.04, p=0.000). 3. 일상활동능력이 적을수록(r=-0.293, p=0.000), 근골격계 증상이 많을수록(r=.251, p=0.001), 지각된 건강상태가 나쁠수록(r=-0.522, p=0.000) 대상자의 우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신체적 건강 요인들의 우울에 대한 설명력은 29.1%이었으며, 이 중 지각된 건강상태의 표준 회귀계수(Beta)가 -0.456으로 가장 좋은 설명력을 가졌으며 일상활동능력(Beta=-0.140)의 순으로 좋은 설명력을 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1. 우울 정도가 높은 가정노인을 간호하기 위해 가정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일상활동능력, 근골격계 증상, 지각된 건강상태 및 인구학적 특성(연령, 배우자 유무)을 고려한 건강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2. 추후 연구에서는 가정노인의 신체적 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