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Flower Plants

자생화훼식물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반응

  • Lee, Jong Suk (Dept. of Hort. College of Natural Science, Seoul Women's Univ.)
  • 이종석 (서울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 Received : 2001.01.23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Experiment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status of Korean native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Sedum middendorifianum, Hemerocallis aurantiaca, Iris ensata var. spontanea and Aquilegia buergeriana var. oxysepola for effective landscaping. Number of floret and flower stalk per a plant were markedly increased under full sun(about 100,000lux), and decreased with decreasing light intensity in all tested plants. This result indicate that it will be cultivated in the open for promote landscaping values. However, leaf area and plant height were more increased under half sun(22,000lux) than open(100,000lux) or shade(7,700lux) in all plants except Sedum middendorifianum. Especially, Hemerocallis aurantiaca had same number of shoot and leaf size, even if planted under shade condition to show a wide adaptation to various light intensities.

우리나라의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 자생식물 중에서 조경용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술패랭이꽃을 비롯하여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에 있어서 양지와 반음지 및 음지 등의 광도조건이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식재시 알맞는 광조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술패랭이꽃을 비롯한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은 10만 lux 정도가 되는 양지조건에서 포기당 꽃대의 수와 착화수가 월등하게 증가되었고 광도가 감소될수록 그 수도 감소되었는데 이들은 양지쪽에 식재해야 많은 꽃을 피울 수 있어서 조경적 가치가 증진되었다. 그러나 섬기린초를 제외한 술패랭이꽃,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의 엽면적과 초장은 양지나 음지조건보다 22,000lux 정도되는 반음지조건에서 증가되었다. 특히 원추리의 경우에는 신초의 발생수나 잎의 크기가 음지나 반음지조건에서도 양지와 비슷하여서 광도에 대한 적응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