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의료 종사자의 의료 서비스 교육이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edical Service by Service Instruction of Dental Health Care Worker

  • Kim, Chang-He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Shin-Sung College) ;
  • Lee, Ji-You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
  • Lee, Hyun-O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 발행 : 2001.12.31

초록

본 연구는 의료종사자들의 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2000. 2. 10부터 2000. 3. 10까지 서울,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341부의 자료를 설문 조사법으로 조사하여 의료 서비스 교육이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의료기관의 위치, 시설장비와 기구, 의료진의 태도에 관한 일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는 서비스 교육을 받은 집단이 4.07,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3.97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서비스 교육에 참여한 집단이 일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의료기관의 이미지, 진료 수준, 홍보부문에서는 의료 서비스 교육의 경험이 있는 집단이 4.01, 교육의 경험이 없는 집단이 3.83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p<.05), 의료 서비스 교육을 받은 집단에서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이행하고 있는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 개선사항, 의료인력의 적정성을 묻는 전반적 의료 서비스의 만족도는 서비스 교육의 참여 집단이 3.32, 서비스 교육에 참여하지 않는 집단이 3.34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의료 서비스의 교육과 인식에 따른 만족도는 일반적 특성별로 서비스 교육을 받고 마케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책임 치과위생사의 집단에서 만족도가 높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5. 교육의 업무와 인식상태를 보면, 교육의 횟수는 1.83회로 나타났고 병원 내부의 서비스 교육의 만족도는 3.24로 낮게 나타났다. 6. 병원의 팀웍은 3.70으로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 만족도는 3.56으로 나타났고, 의료기관의 추천도는 2.50으로 의료기관의 권유이사는 낮게 나타났다. 7.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의료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이 4.40으로 나타나 서비스 교육 필요성의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교육의 경험이 의료 서비스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라고 사료되어지며, 본 연구의 결과 서비스 교육이 병원급에서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서비스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육의 참여 기회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종사자들에게 다양한 교육의 참여와 의료기관에 적합한 내부 교육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좋은 의료 서비스가 창출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survey the level of service education in the people engaging in medical services and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education on their job performanc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0th, 2000 to March 10th, 2000, centering on Seoul and Kyonggi area. A total of 341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the survey. The result ware as followings: (1) In a question about the satisfaction over general medical services such as the location of medical institutions, medical equipments and devices, and the attitudes of medical personnel, the group with service education marked 4.07 while the group with no education earned 3.97,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2) In the area of medical institutions image, level of medical services and promotion, the group with service education showed 4.01 while the group with no education gained 3.83, also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3)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area of satisfaction for over all medical services such as the contentment about the medical services being provided, rooms for improvement and the adequacy of the number of medical personnel. The group with education acquired 3.32, with the group with no education 3.34. (4) Satisfaction about the education and awareness about medical services were high in the group of dental hygienists and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5) The average number of education recorded 1.83 and satisfaction over service education inside the hospital was low, registering 3.24. (6) Teamwork among the personnel in the hospital was 3.70, which is relatively high. The fulfillment over given tasks posted 3.56 and the recommendation for medical institutions was low, recording 3.24. (7) The necessity of medical service education for medical personnel gained 4.40, indicating heightened awareness over the need for service educ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