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산과학회지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제34권3호
- /
- Pages.268-278
- /
- 2001
- /
- 0374-8111(pISSN)
- /
- 2287-8815(eISSN)
낙동강 하구와 주변 연안역의 표층 퇴적상 및 퇴적환경 변화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Adjacent Coastal Area
- KIM Seok-Yun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
- HA Jeong-Su (Department of Oceanograph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 발행 : 2001.05.01
초록
다양한 퇴적환경이 존재하는 낙동강 하구 및 주변 연안역에서 총 40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채취한 표층 퇴적물 시료에 대해 입도분석, 유기물, 탄산염, 점토광물 및 금속원소 함량 분석을 실시하여 표층 퇴적물의 특징적인 퇴적상 및 특성을 파악하고 하구둑 건살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퇴적물의 지역적 분포특성 및 퇴적물 특성에 따라 사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니질 퇴적상 분포역 (TYPE II), 그리고 이 두 퇴적상의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사니질 혼합 퇴적상 분포역 (TYPE III)의 세 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이러한 두 퇴적상의 경계에 위치하는 사니질 혼합 퇴적상은 퇴적물의 특성으로 보아 낙동강으로부터의 직접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흥수나 폭풍시 진해만에서의 재부유된 부유성 세립 퇴적물의 공급에 의해 형성된 복합기원의 퇴적상으로 판단된다. 낙동강 하구둑이 완공된 이후 연안사주를 벗어난 지역까지 계속해서 사질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하구 지역의 퇴적환경 변화는 낙동강 상류로부터의 니질 퇴적물 유입량 감소, 하구지역의 수력학적 에너지 변화, 그리고 이 지역 주변에서 실시된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영향 등의 요인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sedimentary facie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and its adjacent coastal area, the grain siz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organic matter, calcium carbonate, clay mineral and metallic elements were carried out for forty surface sediment samples. Based on regional distribution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sediments, sedimentary facies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sand facies (TYPE I), mud facies (TYPE II) and sand-mud mixed facies (TYPE III). TYPE III is the transition of TYPE I and TYPE II in every aspects of sediment characteristics. It suggests that TYPE III may have been formed by the mixture of two different source of sediment : one derived from Nakdong River and the other resuspended fine-grained sediments from the Jinhae Bay by winnowing action during floods or storms. Among many aspects of environmental chang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Nakdong Barrage, the most significant is the increase of sand content off the sand barrier region. It could be explained by several reasons including decreased input of fine-grained sediment from river, increased hydrodynamic energy level off the sand barrier region and artificial effects such as dredging and dum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