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의 위장관 이물질에 대한 임상적 고찰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이보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이현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미정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광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Lee, Bo-H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Hyun-Ky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Mi-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Kwang-Ha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발행 : 2001.06.30

초록

1997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이물질을 삼켜 내원한 15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생빈도, 발생시간, 이물질의 크기와 종류 및 위장관내의 위치, 임상증상, 이물질에 의한 위내시경 소견, 이물질의 제거 혹은 자연 배출되기까지의 기간, 치료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총 37례 중 남아가 25예(67.5%) 여아가 12예(32.5%)였으며, 남녀비는 2.1:1이였다. 연령별 분포는 1세 이상 2세 미만이 7예(19%)로 가장 많았다. 이물질을 삼킨 시간별 분포는 오후 3시와 4시경이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이 오후에 발생하였다. 이물질의 종류로는 동전이 20예(54%), 손목에 끼는 팔찌자석, 바둑알, 탄력붕대를 고정하는 클립, 열쇠고리, 빨래집게에 부착된 C형의 클립이 각각 1예였다. 위장관내 이물질의 위치는 위장이 16예(43.2%)로 가장 많았으며 상부식도가 12예(32.5%), 소장이 5예(13.5%), 하부식도가 4예(10.8%)였다. 병원에 도착 당시의 임상증상은 무증상이 22예(59.4%)로 가장 많았으며, 구토가 7예(19.0%), 상복부 통증이 3예(8.1%), 오심과 연하곤란이 각각 2예(5.4%), 복통이 1예(2.7%)였다. 치료방법으로 이물질을 삼킨 총 37예 중 20예(54.0%)에서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었으며, 3예(8.1%)에서는 이물질의 자연 배출이 확인되었고, 수술적 제거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이물질을 삼킨 후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은 12예(52.2%)가 12시간 이내에 제거되었으며, 4예(17.4%)가 24시간 이내에 제거되었고, 가장 긴 기간은 7일이었다.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환아에서의 내시경 소견은 15예에서는 정상 소견이었으며, 5예에서 이물질에 의한 이상소견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을 시행한 경우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내시경을 시행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제거에는 위내시경이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진다.

Background: The accidental swallowing of foreign body is a common problem in the children. Ingested foreign bodies may be managed by endoscopy, observation, or surgery. So we analyzed the methods of removal, type, location and complications of foreign bodi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port reviewed 37 cases of ingested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7 and April 2001. Results: The age ranged from 8 months to 8 years.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between 1 year and 2 years of age(19%).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2.1:1 with 25 male and 12 female patients. The type of foreign bodies were coins in 20 cases(54%), nail in 4 cases(11%), key in 4 cases(11%), pin in 2 cases(5.5%), necklace in 2 cases(5.5%) and others. The locations of foreign bodies were upper esophagus in 12 cases(32.5%), lower esophagus in 4 cases(10.8%), stomach in 16 cases(43.2%), small bowel in 5 cases(13.5%). 4. Presenting symptoms were variable with asymptomatic(59.4%), vomiting(19.0%), epigastric pain(8.1%), dysphagia(5.4%) and others. The methods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cluded 20 cases of endoscopic removal(54.0%). 3 cases of spontaneous removal(8.1%) and there was no surgical removal. 14 cases(37.9%) did not confirmed removal of foreign body because of no revisit of our hospital. Endoscopic finding of patients were normal(15 cases), ulceration(2 cases), erosion(1 case), inflammation(1 case), mucosal scratch(1 case). Conclusion: It appears that the endoscopic approach is the preferable method for the removal of upper 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in the childre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