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strointestin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Experiences of 60 Cases in Kangwon, Korea-

소아 위장관 이물 -강원지역 소아 60례-

  • Lee, Young-Sub (Department of Pediatrics,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Kang, Kae-Wool (Department of Pediatrics,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 Choi, Won-Kyu (Department of Pediatrics, Wonju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 이영섭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강계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최원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Received : 2001.05.04
  • Accepted : 2001.07.10
  • Published : 2001.09.30

Abstract

Purpose: Ingested foreign bodies present a common clinical problem. It is well known that most of them pass uninterrupt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We evaluated the role of endoscopy and Foley catheter for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ethods: We investigated retrospectively 60 cases with foreign bodies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They had been treated at Wonju Christian Hospital, Yonsei University of Korea, from January, 1996 through December, 1999. Results: The age of the patients ranged from 7 months to 13 years. Patients under 5 years were 57 cases (97%)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M : F=1.07 : 1). 45 cases of the patients had no symptom. The most common foreign bodies were coins (43 cases).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esophagus (31 cases). The number of foreign body removal using flexible endoscopy and Foley catheter was 22 (36.7%) and 18 (30.0%) cases, respectively. In 18 cases (30.0%), foreign bodies passed spontaneously. Only 1 case (1.7%), curtain pin impaction at ileocecal region, required surgery. Conclusion: Early foreign body removal from esophagus and stomach is recommended to lessen the morbidity and complication. Fluoroscopic foley catheter technique and flexible endoscopy for removal of esophageal foreign bodies in children is safe and effective.

목적: 소아의 위장관 이물은 일상 생활에서 흔히 경험하는 질환으로 대개의 경우는 합병증 없이 자연 배출된다. 저자들은 내시경과 Foley 도관을 이용한 위장관 이물 적출술에 관한 최근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4년간 원주기독병원 소아과에 위장관 이물로 내원한 6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별, 연령, 임상 증상, 이물의 종류와 위치, 이물의 치료 및 제거 방법, 합병증 등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위장관 이물 환자의 연령은 7개월에서 13세까지였으며, 5세 이하가 57례(95.0%)를 차지하였으며, 남녀비는 1.07:1이었다. 임상 증상은 무증상이 45례(75.0%)로 가장 많았고 연하곤란 8례(13.3%), 인후통 5례(8.3%), 구토, 복부 불쾌감이 각각 1례(1.7%)였다. 이물의 종류는 동전이 43례(71.7%)로 가장 많았고 구슬, 바둑알, 반지 등이 각각 3례(5.0%), 수은 건전지가 2례(3.3%)였으며 그 외 금속 clip, 나사못, 커튼핀, 머리핀, 오디오 열쇠, 스티커 등이 각각 1례(1.7%)씩 있었다. 이물의 위치는 식도 31례(51.6%), 위 25례(41.7%), 소장 3례(5.0%), 인후 1례(1.7%)였고, 이 중 식도 이물은 경부식도 24례(40.0%), 원위식도 5례(8.3%), 흉부식도 2례(3.3%)에서 관찰되었다. 유연성 내시경적 이물 제거를 시행한 경우가 22례(36.7%)로 가장 많았고, Foley 도관을 이용한 경우가 18례(30.0%), Forcep를 이용한 경우가 1례(1.7%)였다. 18례(30.0%)에서는 자연 배출되었고, 1례(1.7%)에서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 이물은 조기에 제거하여 이환율과 합병증을 감소시켜야 하며, 식도이물의 제거시 X-선 투시하의 Foley 도관과 내시경은 소아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이물적출방법이다. 얇고, 날카로운 이물은 주위 깊은 관찰을 요하며, 하부 위장관에 위치시 장천공에 대한 주위 깊은 관찰을 요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