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f Short-Term Variability of Methane in the Moo-Ahn Observatory Site in Korea

무안지역 메탄가스의 단주기적 농도변화에 대한 평가

  • Choi, Gyoo-Hoon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Sciences, Sejong University) ;
  • Youn, Yong-Hoon (Korea Global Atmosphere Watch Observatory,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
  • Kim, Chang-Hee (Department of Chemistry, Cheju National University) ;
  • Cho, Young-Min (School of Environment & Applied Chemistry, Kyunghee University) ;
  • Kim, Ki-Hyeon (Department of Geoinformation Sciences, Sejong University)
  • 최규훈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과학과) ;
  • 윤용훈 (기상연구소 지구대기감시관측소) ;
  • 김창희 (제주대학교 화학과) ;
  • 조영민 (경희대학교 환경응용화학부) ;
  • 김기현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과학과)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In this study, the short-term variability of methane concentrations were investigated over 24-hr scale. The data obtained form the Moo-Ahn (MAN) station located in the 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were analyzed from various respects to describe it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ver short term scale. The MAN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two major background observatory sites: Point Barrow (Alaska) and Mauna Loa (Hawaii). The mean concentration of methane for the whole study period, when computed using the daily mean values, was found to be 1898${\pm}$85.3ppb (N=812). The mean values for the two comparable sites were observed to be 1832${\pm}$29.6ppb (N=823) for Point Barrow and 1745${\pm}$14.8ppb (N=818) for Mauna Lo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frequency distribution. the mode value for the MAN area is found to be 1900ppb, but the mean concentration for Point Barrow and Mauna Loa are shown to have relatively low values of 1850 and 1750ppb, respectively. When examined over diurnal scale, the CH$_4$data for the MAN area exhibit a rather consistent trend; CH$_4$level is low during the daytime (after 6:00 A.M) and rises during the nighttime. The findings of the generally enhanced methane concentration in the MAN station may be explained form various respect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is that the MAN area is under the influence of various source processes relative to all the other stations under consideration. The short-term distribution patterns for the MAN station are hence characterized not only by the high methane concentration but also by the high oscillation in its CH$_4$concentration level.

본 연구에서는 전남 무안지역을 중심으로 관측한 농도자료와 세계의 주요 배경관측지점인 Point Barrow(Alaska), Mauna Loa(Hawaii)를 중심으로 관측한 농도자료를 이용하여, 메탄의 농도분포특성을 지역 또는 시간의 함수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들 관측점들은 주요 위도대를 대표하기 때문에, 위도별 베탄의 분포특성을 파악하는데도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메탄의 농도변화양상을 여러 가지 시간적 주기로 비교하고, 그러한 결과의 의미를 다양한 통계적 기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관측기간동안 확보된 일평균 농도자료로부터 계산된 무안지역의 농도는 1898${\pm}$85.3ppb(N=812)로 나타났다. 동일한 기관동안 두 개의 비교관측지점인 Point Barrow와 Mauna Loa 지역에서는 1832${\pm}$29.6ppb(N=823), 1745${\pm}$14.8ppb(N=818)의 평균농도가 각각 관측되었다. 각 지점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빈도분포를 비교한 결과에 따르면, 무안지역에서 1900ppb의 최빈값을 나타낸 반면, Point Barrow, Mauna Loa 지역에서는 각각 1850, 1750ppb로 (상대적으로) 낮은 최빈값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의 관측점에서 발견되는 고농도의 메탄분포특성을 여러 관점에서 비교하고 해석하고자 하였다. 국외지역에서 주로 발견되는 미미한 수준의 농도변화 경향과 달리, 무안지역에서는 여타 지역들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농도값이 유지되고 그 농도변화가 주야간대별로 뚜렷하게 구분될 정도로 주기적인 변화의 폭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무안지역에서는 낮시간대(6:00 AM 이후)에 농도가 낮아지고, 저녁시간대에 농도치가 상승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풍향과 CH$_4$농도관계를 비교한 결과, 연구대상지역이 서해안에 위치한 지리적인 요건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청정한 해풍이 주를 이루는 서풍계열의 풍계가 나타날 때, CH$_4$의 농도는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면, 국내 지점의 메탄농도는 국외여타 지점에 비해 뚜렷하게 구분이 될 정도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여타 비교대상지역들에 비해, 무안지역이 보다 다양한 배출원의 영향에 직접적으로 노출된데 따른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반영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연구지점에서 발견된 CH$_4$의 고농도 현상과 일주기를 중심으로 반복되는 농도의 큰 진동폭이 나타나는 현상도 역시 주목할 만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온실기체 감시 시스템 개발 연구(Ⅱ) - 제 2차년도 최종보고서 기상청 기상연구소
  2. 온실기체 관측연보, 제 1권 1995~1996년 관측자료 기상청
  3. 온실기체 관측연보, 제 2권 1997년 관측자료 기상청
  4. 온실기체 관측연보, 제 1권 1998년 관측자료 기상청
  5.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no.1 국내외 관측점간의 비교분석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장주기적 농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김기현;윤용훈;송기범
  6. 한국지구과학회지 v.21 no.5 이산화탄소의 단주기적 농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송기범;윤용훈;김기현
  7. 전남 무안에서의 온실기체 변동 특성 분석 전의찬;유은기
  8. 한국환경과학회지 v.1 no.2 한국의 태안반도에서 관측된 CH₄의 지역적 배경농도에 관한 연구 - 1990~1992년 자료를 중심으로 정용승;이근준
  9. G-7 프로젝트(지구 규모 대기환경기초 및 기반 기술) 개발 사업의 세부 과제 - 지구 대기 조성 변화 감시의 제 2단계 제 2,3차년도 연차 보고서 환경부
  10. Natural and Anthropogenic Methane Sources in New England v.33 no.2 Blaha, D.;Bartlet, K.;Czepiel, P.;Harris, R.;Chrill, P.
  11. Proceedings Saradinia 95, Fifth International Landfill Symposium-Concepts, Process, Technologies and Operation Landfill Methane Balance: Model and Practical Application Bogner, J.;Spokas, K.
  12. Environ. Sci. Technol. v.99 Methane Emissions at Nine Landfill Site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Byard, W. Mosher;Peter, M. Czepiel;Robert, C. Harriss
  13.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33 no.11 Methane Oxidation in Simulated Landfill Cover Environments De Visscher, A.;Thomas, D.;Boeckz, P.;Van Cleemputo
  14. Nature v.393 no.6684 Continuing Decline in the Growth Rate of the Atmospheric Methane Burden Dlugokencky, E.J.;Masarie, K.A.;Lang, P.M.;Tans, P.P.
  15. J. Geophys. Res. v.97 Variation in Atmospheric Methane at Mauna Loa Observatory related to Long-range Transport Harris, J.M.;Tans, P.P.;Dlugokencky, E.J.;Masarie, K.A.;Lang, P.M.;Whittlestone, S.;Steele, L.P.
  16.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29 no.6 Development of Atmospheric Tracer Methods to Measure Methane Emissions from Natural Gas Facilities and Urban Areas Lamb, B.K.;McManus, J.B.;Shorter, J.H.;Kolb, C.E.;Mosher, B.;Harris, R.C.;Allwine, E.;Blaha, D.;Howard, T.;Guenther, A.;Lott, R.A.;Siverson, R.;Westberg, H.;Zimmerman, P.
  17.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v.33 no.12 Methane Emissions At Nine Landfill Sites in the Northeastern United States Mosher, B.W.;Czepiel, P.M.;Harris, R.C.;Shorter, J.H.;Kolb, C.E.;McManus, J.B.;Allwine, E.;Lamb, B.K.
  18. Bulletin American Meteorogical Society v.73 The U.S. Department of Energy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s Academy of Science Joint of Research on the Greenhouse Effect: 1895-1991 Research Program Riches, M.R.;Jianping, Z.;Wang, W.C.;Shiyan,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