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stics of Farm Household in Suburban Areas Classified by the Farming Types and Changes of Facility Farm Household's Management Size - A Case Study of Munsanli, Taegu -

대도시근교 농촌지역의 농가특성과 시설농가의 경영규모 변화 - 대구광역시 문산리를 사례로 -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Summarized results of this study that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farm household in suburban areas classified by the fanning types are as follows. When it was looked into with the side of farm household and his family, the type of the farm household in suburban areas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fanning labor rather than the quantity of it.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farm household, it depends upon the family labor (usually men and wives). And the age of farm manager is an important part in the quality of fanning labor. The size of the farm household is related to the individual fanning labor. The size of self-sufficient crops(mainly rice) farm household will be small as the farmer gets to be old. But the size of commercial crops farm household has less tendency to change in terms with the age of farm manager. The fanning commercialism takes an important part i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suburban agricultural areas. But, in fact, there is a shortage of farming labor. So the physical condition of farmland is the most important part in agricultural durability. After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we won't have enough chance to solve the problem of family member separation and shortage of fanning labor even though it is in the suburban area or in the profitable farm until we give them more enough chance to get a job(except fanning) and the better education infrastructure. To make matters worse, the aggravation of farm house-hold's economy due to unstable price of farming products' threatens the agricultural durability. Consequently, in order to get a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rural community, a qualitative change with improvement of agricultural conditions and of products distribution system is needed.

우리나라의 농촌에서는 산업화와 밀접히 연관되면서 시설작물의 재배가 증가해 왔고, 특히 1970년대 이후에는 대도시 주변지역에서 급격히 증가해 왔다. 개별농가의 영농유형은 농업노동력의 양보다는 질적 수준과 관련이 있으며, 노동력의 질적 수준에서는 특히 경영주의 연령이 중요하다. 경영규모는 경영주의 연령과 관련이 있으며 미작 재배농가보다는 시설작물 재배농가의 경영주 평균연령이 더 젊고 경영규모가 더 크다. 시설작물 재배의 주목적은 영농을 통한 상업성의 제고가 가장 원인이지만 부족한 노동력 때문에 경영규모에는 한계가 있고 특히 농산물 가격의 불안정과 수익성 악화는 적극적인 경영규모 확대를 제한하고 있다. 시설작물 재배농가의 경영규모 확대는 농지의 매입보다 임차지의 확대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때 영농조건이 유리한 농지를 중심으로 임대차가 발생된다. 결과적으로 대도시 근교 농촌지역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서는 영농의 상업화와 수익성 제가 중요한 요인이지만 토지이용의 효율성 측면에서는 농지의 자연적 조건이 중요하게 작용된다. 그러나 농외부문의 취업기반이나 교육시설의 보완 없이는 촌락 공동체의 유지측면에서 가족 구성원의 분리문제와 농업노동력 부족문제가 해결될 가능성이 낮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