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ucture and Spatial Patterns of Unemployment in Germany

독일 실업문제의 구조적 특성과 공간적 전개양상

  • Ahn, Young-Ji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Won-Ho (The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안영진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 이원호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 Published : 2001.08.20

Abstract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structures of unemployment as well as its spatial patterns in Germany. Germany once achieved a well-developed employment system and full employment. Since 1970, however, unemployment has been one of the major issues in Germany.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the unemployment rate has risen to unprecedented levels and stayed high.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especially, labor market is characterized by the mass unemployment and the structural selective process of unemployment to be imposed on German workers. And regarding to the spatial patterns of massive unemployment, this study shows critical disparities between South and North Germany being overlapped with new dispariti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We can explain the regional differentiation of unemployment on the base of typical mismatch of labour market allocation. It is also shown that massive unemployment is related not only to policy shifts in labor market but also to structural transformation after the unification.

이 글의 목적은 독일이 당면하고 있는 실업문제와 그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고, 실업이 공간적으로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논의하는데 있다. 독일은 1950년 말이래 안정된 고용체계를 확립하고 완전고용을 성취하였으나, 1970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대량실업 사태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 통일과 함께 구 동독에서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불안정한 노동시장이 구조화되고 있으며, 일부 인구집단이 고용체계로의 진입 및 퇴출 과정에서 선별작용을 현저히 겪고 있다. 독일의 실업은 공간적으로 독특한 발전패턴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통적인 남북격차에 동서격차가 겹치는 다중적 양상과 아울러 지리적 권역에 따른 차별적 상황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전반적인 고실업은 노동시장상의 정책기조의 변화와 통일이라는 시대적 변혁이 맞물려 만성화 내지 장기화되고 있으며, 그 지역적 편차는 노동력 수급에 있어 불균등을 반영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