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의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는 지난 30년간의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로 인한 격심한 인구 유출에 따른 사회변화에 농촌지역사회와 농민의 토지이용방식 및 이농민의 농지처리가 미처 대응하지 못해 나타난 결과이다. 과소지역인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가리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한 농촌 노동력의 질적 저하 양적 부족은 만성적인 농지 공급과잉이 초래되었다. 촌락 내 노동력의 절대적 부족 상태에서 경작조건 불리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가 진행되고 있다. 둘째, 노동력의 상대적 부족 상태, 즉 집약적 노동 투입 또는 노동력 배분 우선 순위에 따라서 자기 소유의 땅이라도 경작 조건이 나쁠 경우는 휴경하고, 조건이 좋은 땅을 임차하여 경영 규모를 확대한다. 셋째, 이농민의 토지 보유 성향과 상속, 매매 부진으로 인한 부재지주 소유농지의 증가는 휴경화를 촉진하는 주요한 요인이다. 노령자의 질병 사망으로 인한 농가 소멸이나 비농가화(非農家化), 촌락 내 노동력의 부족은 부재지주 소유 농지의 우선적 휴경화를 촉진시킨다. 경사도가 높거나 경작조건이 불리한 경지는 부재지주 소유농지를 중심으로 휴경화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덕가리 부재지주의 휴경지는 이촌 이농형 문중답 위토형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국농촌의 휴경화는 압축적 산업화에 따른 인구유출로 인한 노동력의 양 질적 부족, 경작불리 지의 방치, 농업의 수지조건 악화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부재지주 농지의 온존 증가와 같은 문화적 요인이 주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유출로 인한 과소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원격지 과소농촌지역에서의 휴경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따라서 또 하나의 한국적 현상인 대도시주변지역에서 나타나는 일시적, 투기적 휴경현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설명력이 증가되고 전체적인 휴경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Serious depopulation has occurred since the rapid economic growth after $1965{\sim}1995$. As a result, nowadays most of mountain villages face difficulty in maintaining and managing their settlement, becau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extremely small size of the settlement. Population change is understood as the origin of depopulation problems and the criterion for the de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over-depopulation in rural Korea and to classify the patterns and process of follow and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It consists with the three parts : identifying the problems of over- depopulation, classifying the socio-economic factors of fallow land, analyzing a detailed case study of follow land in over-depopulation rural area-Sangju Gun and to provide policy alternatives. The results are summarizes as follows: 1) In the study area, the amount of fallow and abandoned cultivated land has increased since 1975. With the increased urbanization, the cause of the increase in fallow and abandoned cultivated-land is the labor shortage of quantity and quality.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e abandonment of farmland are poor field conditions and the lack of rented farmland. 2) The secondary cause is a relative labor shortage through specialization into intensive horticulture. In the study area, specialization into pear requires intensive labor input. It has caused a relative labor shortage. 3) The third causes are landowner and the lack of rented farmland due to labor shortage. The declining of agriculture and forestry have caused out-migration and increased non-residents' landowner. 4) The fallow patterns are devided into two types the less favored farmland fallow type, non-residents' landowner(out-migrator) fallow type. The significant causes of the increase in fallow and abandoned cultivated land are the labor shortage, intensive farming, less favored farmland conditions, non-residents' landowner. The factors which caused the follow processes in Korea are socio-economic factors (labor shortage, intensive farming, less favored farmland conditions) and cultural factor(non-residents' landowner, psychological ties between rural areas and 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