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Heritabilities and Genetic Gains for Height and Diameter Growth of Korean White Pine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잣나무 풍매차대검정림(風媒次代檢定林)의 수고(樹高) 및 직경생장(直徑生長)의 유전력(遺傳力)과 개량효과(改良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 Chon, Sang-Keun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Life-Science, Kyunghee Univ.) ;
  • Shin, Man Yong (Dept. of Forest Resources, College of Forest-Science, Kookmin Univ.) ;
  • Chung, Dong-Jun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Life-Science, Kyunghee Univ.) ;
  • Jang, Yong-Seok (Dept. of Forest Science, College of Life-Science, Kyunghee Univ.)
  • 전상근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삼림과학전공) ;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삼림과학대학 산림자원학과) ;
  • 정동준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삼림과학전공) ;
  • 장용석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삼림과학전공)
  • Received : 2000.11.30
  • Accepted : 2000.12.21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genetic variation and to estimate both heritabilities and genetic gains for height and diameter growth of 20-year-old open-pollinated progenies of Korean white pine in three different sites. For there, analysis of variance for both height and diameter growth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amilies, sites, blocks, and their interactions exist or not and to analyze the variance components for each factor. Mean height and diameter at Gapyeong site were 7.65m and 11.92cm, respectively. they were 7.42m and 11.35cm at Gwangiu site, 6.13m and 8.41cm at Youngdong site, and 7.12m and 10.68cm for the overall sites. The family No. 20 showed the most excellent growth of 7.99m in mean height and 12.14cm in mean diameter for all sites surveyed. The estimates of heritabilities for individual-tree and family were, 0.35~0.73 and 0.65~0.83 for height growth, and 0.12~0.40 and 0.46~0.75 for diameter growth, respectively. For the combined data from all the sites, the estimates of individual tree heritability were 0.60 for height and 0.20 for diameter, and those of family were 0.91 for height and 0.77 for diameter. Heritability estimates varied with testing sites, and those for height were higher than those for diameter in all sites. Given equal intensity of selection, combined selection method provided the most efficient genetic gains for both height and diameter growth.

본 연구는 경기도(京畿道) 가평(加平), 광주(廣州) 그리고 충청북도(忠淸北道) 영동(永同) 지역에 조성한 잣나무 다산계(多産系) 20년생 풍매차대검정림(風媒次代檢定林)을 대상으로 지역별, 가계별 수고 및 직경생장에 대한 분산을 분석 검토하여 유전력 및 개량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 지역별로 평균수고와 흉고직경에 있어서 경기도(京畿道) 가평(加平) 지역이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었고 ($7.65m{\cdot}11.92cm$), 그 다음으로는 광주(廣州) 지역과($7.42m{\cdot}11.35cm$), 영동(永同) 지역의($6.13m{\cdot}8.41cm$) 순서였으며, 3개 지역을 종합한 결과에서는 각각 7.12m와 10.68cm였다. 가계별로는 20번, 18번, 8번 가계 등(等)이 수고 및 직경생장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보였으며 3번, 4번, 5번, 13번, 15번, 21번 가계 등(等)이 대체적으로 저조한 생장을 나타내었다. 수고 및 직경생장에 대한 단목(單木) 및 가계(家系) 유전력(遺傳力)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생장변이의 경향과 동일하게 가평(加平) 지역이 가장 높았으며, 지역별(地域別) 및 3개 지역을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모두 수고생장에 대한 단목(單木) 및 가계(家系) 유전력(遺傳力)이 직경생장에 대한 유전력(遺傳力) 값들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기초로 상위(上位) 10%를 선발하였을 경우 4가지 선발방법 중 개량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던 방법은 복합선발(複合選拔)(수고의 개량효과 11.26~19.78%, 직경의 개량효과 8.09~20.05%)이었고, 다음은 집단선발(集團選拔)(수고의 개량효과 7.67~15.38%, 직경의 개량효과 4.25~13.93%)로 판명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