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혈성 심근 기능장애에서 술전 관류결손의 가역성에 따른 재관류 시술 이후 심근 기능회복 양상의 시간적 차이

Difference of Time Course of Functional Recovery after Revascularization According to Preoperative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in 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 팽진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김기봉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유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여정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Paeng, Jin-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Dong-S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Ki-Bong (Department of Thoracic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Yu-Kyeo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Yeo, Jeong-Seo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g, June-Key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1.12.31

초록

목적: 허혈성 심질환에서 재관류 이후 기절심근이 동면심근보다 빠른 기능회복을 보임과, 심근 SPECT 상의 관류결손 가역성에 따라 기절심근과 동면심근이 구별 가능함을 시사하는 최근의 보고들을 바탕으로, 수술 전 관류결손 가역성에 따라 CABG 이후 심근 기능회복의 시간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92명의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CABG 이전, 3개월 후, 17개월 후에 Tl-201 휴식기/디피리다몰 부하 Tc-99m-MIBI 게이트 SPECT를 실시하고, 각 영상에서 심근을 20분절로 나누어 각 분절의 관류와 수축기 두꺼워짐을 자동정량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관류결손과 두꺼워짐 이상을 보인 심근을 관류결손 가역성 있음(REV)과 없음(IRREV)의 두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에서 CABG 후 10% 이상의 두꺼워짐 호전을 기능회복으로 정의하여 3개월과 17개월째 심근의 기능회복 양상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 129분절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어 76분절이 REV, 53분절이 IRREV 군으로 분류되었다. 이중 3개월째 기능회복심근은 REV군이 61개(80%), IRREV 군은 28개 (53%)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러나 17개월째에는 REV 군이 60개 (79%), IRREV의 군이 37개 (70%)로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p=n.s.). 한편 각 군 내에서 3개월과 17개월의 기능회복 분절을 비교하였을 때, REV 군은 차이가 없었으나(p=n.s.) IRREV 군은 17개월째 기능회복 심근이 3개월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론: 생존능이 있는 허혈성 기능장애 심근에서, 관류결손의 가역성이 없는 심근은 가역성이 있는 심근보다 재관류 이후 기능회복이 지연되어 있다.

Purpose: In the revascuarization of ischemic dysfunctional myocardium, stunned myocardium was reported to recover function earlier than hibernating myocardium. It was also suggested that stunning and hibernation could be discriminated by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on myocardial SPEC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ime course of functional recover after CABG according to reversibility of perfusion impairment. Materials and Methods: In 92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l-201 rest/dipyridamole stress Tc-99m-MIBI gated SPECT was performed before, 3 months after, and 17 months after CABG. Using a 20-segment model, segmental perfusion and systolic thickening were automatically quantified. Perfusion-impaired segments with abnormal thickening were classified by reversibility into reversible (REV) and irreversible (IRREV) groups. The proportions of function-recovered segments were compared between groups and also between 3 months and 17 months in each group. Results: A total of 129 segm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76 were REV and 53 were IRREV. At 3 months after CABG, 61 segments (80%) in REV group showed functional recovery while 28 segments (53%) in IRREV group did (p<0.001). However, at 17 months after CABG, 60 segments (79%) in REV group and 37 segments (70%) un IRREV group showed functional recovery (p=n.s.). When comparing 3 months and 17 months in each group, REV group showed no difference, while IRREV group showed significant further improvement (p<0.05). Conclusion: In viable myocardium with ischemic myocardial dysfunction, the segments with reversible perfusion impairment recover function earlier after revascularization than irreversible segmen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