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쥐 부정소 부위별 당쇄 분포의 차이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Mouse Epididymis

  • 계명찬 (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생물학과)
  • 발행 : 2001.12.01

초록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을 이용하여 생쥐 부정소 조직내 당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당쇄의 측쇄 말단의 $\alpha$-L-fuc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EA I은 체부 및 미부 부정소를 제외한 두부 부정소 선단의 세정관 상피를 강하게 표지하였으나 관강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모두 표지되어 $\alpha$-L-fucose 잔기를 갖는 부정소 항원들은 부정소 선단부에서 주로 합성된 후 분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당쇄 말단의 $\alpha$-D-galact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SL-I은 두부 부정소를 제외한 체부와 미부 부정소 상피의 투명세포의 세포질과 섬모 및 기저세포를 표지하였다. 다당 사슬 및 복잡한 구조를 갖는 glycan의 당쇄의 N-acetyl-giucosamin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sWCA는 부정소 부위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부와 미부 부정소의 투명세포는 주세포에 비해 더 강하게 표지되어 sWGA 표지는 투명세포 기능분화의 표식자로 추측된다. UEA I 및 sWGA에 의한 관강의 표지 강도는 체부보다는 미부에서 약하게 관찰되어 미부 부정소 관강내에 $\alpha$-L-fucose 및 N-acetyl-glucosamine 잔기의 절단과 관련된 효소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하면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N-acetyl-glucosamine 잔기를 갖는 당쇄의 분포가 상피세포의 종류 및 부정소의 길이를 따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자의 성숙을 조절하는 부정소 각 절편 및 특정 절편 내 소관상피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To characterize the difference in glycoconjugates of mouse epididymis, lectin labeling of the tissue section was conducted using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and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 UEA I which binds to outer $\alpha$-L-fucose residue that is a terminal sugar of the side chain branched from oligosaccharide chain gave the labeling in the proximal caput epithelia exclusively. Lumen was commonly labeled in all of the organ. It suggested that the glycoconjugates bearing outer $\alpha$ -L-fucose residue were largely expressed in the initial segments ot epididymis and subjected to secretion. GSL-I which binds to terminal $\alpha$ -D-galactosyl residue of glycoconjugates gave the labeling in the cytoplasm of clear cells and basal cells, and cilia in corpus and cauda regions but not in the caput region. There was no vast difference in labeling pattern by sWGA which binds to N-acetyl-glucosamine residue among the epididymal regions. Clear cells in corpus and cauda epithelia showed more intense labeling by sWGA compared to principal cells, suggesting the functional specialization of this type of cells. The labeling intensities of luminal content by UEA I and sWGA decreased in cauda region compared to corpus region suggesting the presence of enzymatic activities responsible for processing the $\alpha$-L-fucose and N-acetyl-glucosamine residues from secreted glycoconjugates. In summary, the difference in glycoconjugates bearing the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and N-acetyl-glucosamine residues according to the type of epithelial cells and epididymal segments suggests functional specialization and different roles of each segment in the processing of sperm surface antigens during the epididymal transi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