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Effects of ultraviolet stress and elicitors, cellulase and jasmonic acid (JA), for the production of capsidiol, sesquiterpenoid phytoalexin, in seedlings and suspension cultures of pepper (Capsicum annum L. cv, Soobicho) were examined. Extracellular capsidiol in the medium of suspension cultures was absent from control cells, but accumulated in the elicitor treated cells with 0.05 $\mu\textrm{g}$/mL of cellulase or 0.1 $\mu\textrm{g}$/mL JA. Elicited cells gradually decreased their viability and eventually died within 48 hours of elicitor treatment by the toxicity of capsidiol accumulated in the culture medium. Capsidiol production in the leaves of pepper seedlings was markedly increased by the treatment of ultraviolet stress and reached maximum level at 48 hours of irradiation. Infiltration of elicitors, 0.05 $\mu\textrm{g}$/mL cellulase or 1.0 $\mu\textrm{g}$/mL JA, to the surface of leaf or fruit, stimulated the elicitation of the cells which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capsidiol and expansion of pathogene-like lesion around the elicitor treated region.
고추 (Capsicum annum L.)의 잎, 과실 및 배양세포를 대상으로 capsidiol의 생산을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 cellulase 및 jasmonic acid (JA)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배양세포는 cellulase 0.05 mg/L나 JA 0.1 mg/L처리로 세포의 capsidiol 생산을 위한 유도가 가능하였다. Elicitor를 처리한 배양세포는 자체 생성한 capsidiol의 독성에 의해 활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48시간 이후에는 세포활력을 거의 잃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스트레스의 처리는 48시간의 처리로 고추 잎의 capsidiol의 함량을 최고 45.4배까지 증가시켰다. Cellulase 0.05 mg/L또는 JA 1.0mg/L를 식물의 잎 표면이나 과실의 기부에 미세주사기로 주입하면, 잎은 elicitor를 주입한 부위로부터 합성된 capsidiol의 독성으로 병반이 확대되어 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과실에서도 elicitor의 주입에 의해 병반이 확산되며 elicitor를 주입한 과실에서 capsidiol의 생성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