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uttering yield of the MgO thin film grown on the Cu substrate by using the focused ion beam

집속이온빔을 이용한 구리 기판위에 성장한 MgO 박막의 스퍼터링 수율

  • 현정우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오현주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추동철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최은하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김태환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조광섭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 강승언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MgO thin films with 1000 $\AA$ thickness were deposited on Cu substrates by using an electron gun evaporator at room temperature. A 1000 $\AA$ thick Al layer was deposited on the MgO for removing the charging effect of the MgO thin film during the measurements of the sputtering yields. A Ga ion liquid metal was used as the focused ion beam(FIB) source. The ion beam was focused by using double einzel lenses, and a deflector was employed to scan the ion beams into the MgO layer. Both currents of the secondary particle and the probe ion beam were measured, and they dramatically changed with varying the applied acceleration voltage of the source. The sputtering yield of the MgO layer was determined using the values of the analyzed probe current, the secondary particle current, and the net current. When the acceleration voltage of the FIB system was 15 kV, the sputtering yield of the MgO thin film was 0.30. The sputtering yield of the MgO thin film linearly increases with the acceleration voltag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B system is promising for the measurements of the sputtering yield of the MgO thin film.

전자빔 증착기를 이용하여 1000 $\AA$의 두께를 가진 MgO박막을 구리 기판위에 상온에서 증착하였다. 스퍼터링수율 측정시 MgO 층에 충전현상을 없애주기 위해서 1000 $\AA$ 두께의 Al을 증착하였다. 갈륨 액체금속을 집속이온빔 이온원으로 사용하였다. 두 개의 정전렌즈를 사용하여 이온빔을 집속하였고, MgO에 이온빔을 주사하기 위해 편향기를 사용하였다. 가속전압의 변화에 따라 시료대 전류와 이차입자 전류를 측정하였고, 이 전류값은 소스에 인가하는 가속전압에 따라 변화되었다 MgO 박막의 스퍼터링 수율은 분석된 시료대 전류, 이차입자 전류 및 순수빔 전류의 값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집속이온빔 장치의 가속전압이 15 kV일 때 MgO 박막의 스퍼터링 수율은 0.30으로 나왔고 가속전압의 값이 증가할 때 스퍼터링 수율이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집속이온빔 장치를 이용하면 MgO 박막의 스퍼터링 수율을 측정할 패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J. Appl. Phys. v.81 no.2 J. Z. Wan;J. G. Simmons;D. A. Thompson
  2. J. Vac. Sci. Technol. B v.11 no.6 G. Ben Assayag;C. Vieu;J. Gierak
  3. J. Vac. Sci. Technol. B v.11 no.6 Yeong-Ah Soh;Gregory L. Snider;Michael J. skvarla;Harold G. Craighead
  4. J. Vac. Sci. Technol. B v.16 no.4 H. Kim;T. Noda;H. Sakaki
  5. J. Appl. Phys. v.75 G. Bacher;T. Kummell;D. Eisert;A. Forchel;B. Konig;W. Ossau;C.R. Becker;G. Landwehr.
  6. Appl. Phys. Lett. v.34 L. Seliger;J. W. Ward;V. Wang;R. L. Kubena
  7. Phys. Plasmas v.1 H. S. Uhm;E. H. Choi;G. S. Cho;S. O. Kang
  8. Appl. Phys. A v.39 M. Tamura;S. Shukuri;M. Moniwa;M. Default
  9. J. Vac. Sci. Technol. B v.9 H. J. Lezec;C. R. Musil;J. Melngailis;L. J. Mahoney;J. D. Woodhouse
  10. J. Vac. Sci. Technol. B v.9 S. Matsui;Y. Kojima;Y. Ochiai;Honda
  11. J. Vac. Sci. Technol. B v.9 J. S. Huh;M. I. Shepard;J. Melngailis
  12. Jpn. J. Appl. Phys. v.29 T. Ishitani;T. Ohnishi;Y. Kanwan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