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ondary electron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 thermally grown $SiO_2$ thin layer

건식 열산화로 성장시킨 $SiO_2$박막의 이차전자 방출 특성

  • 정태원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유세기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이정희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진성환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허정나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이휘건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 전동렬 (명지대 물리학과) ;
  • 김종민 (삼성 종합기술원 전자 방출원 연구단)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e secondary election emission (SEE) yields for the thermally grown $SiO_2$ thin layers were measur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the $SiO_2$ layer and the primary current. $SiO_2$ thin layers were thermally grown in a furnace at $930^{\circ}C$, whose thickness varied to be 5.8 nm, 19 nm, 43 nm, 79 nm, 95 nm, and 114 nm. When the $SiO_2$ layers were thinner than 43 nm, it was found that SEE curves followed the universal curve. However, for samples with a $SiO_2$ layer thicker than 79 nm, the SEE curves exhibited two maxima and the values of SEE yields were reduced. Additionally, as the current of primary electrons increased, the SEE yields were reduced. In this experiment, the maximum value of the SEE yield for $SiO_2$ layers was obtained to be 3.35 when the thickness of $SiO_2$ layer was 19 nm, with the primary electron energy 300 eV and the primary electron current 0.97 $\mu\textrm{A}$. The penetration and escape depth of an electron in the $SiO_2$ layers were calculated at the primary electron energy for the maximum value of the SEE yield and from these depths, it was calculat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iO_2$layer.

열산화시킨 $SiO_2$ 박막의 두께와 입사 전류의 양에 따라 이차전자 방출 계수를 측정하였다. $930^{\circ}C$에서 열산화시킨 $SiO_2$ 박막 두께는 58nm, 19nm, 43nm, 79nm, 95nm, 114nm였으며 이들의 이차전자의 방출 특성이 박막 두께와 전류량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박막 두께 43 nm 이하의 얇은 박막에서는 대체적으로 universal curve의 형태를 따르지만 79 nm 이상의 두꺼운 박막에서는 이차전자 방출곡선이 최고점이 2개인 형태로 변하며 그 값도 전반적으로 낮아진다. 또 입사시키는 일차전자 전류의 증가에 대해서도 이차전자 방출곡선이 전체적으로 낮아진다. 이 실험에서 측정된 최대 이차전자 방출 계수는 박막 두께 19 nm, 일차 전자 에너지 300 eV 일차 전류 0.97 $\mu\textrm{A}$일 때 3.35를 갖는다. 이차전자 방출계수가 최대인 입사에너지에서 전자의 시료내 침투깊이와 탈출깊이와의 관계식을 통하여 박막 두께를 이론적으로 계산하였으며, 실험값과 비교적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roc. SPIE v.1306 J. R. Horthon;G. W. Tasker;J. J. Fijol
  2. App. Phys. Lett. W. K. Yi;Sunghwan Jin;Taewon Jeong;Junghee Lee;SeGi Yu;Yongsoo Choi;J. M. Kim
  3. Solid State Physics Advances in Research and Applications A. J. Dekker;F. Seitz(ed.);D. Turnbull(ed.)
  4. Advances in Electronics and Electron Physics O. Hachenberg;W. Brauer;L. Marlon(ed.)
  5. Phys. Rev. v.B36 J. Devooght;A. Dubus;J. C. Dehaes
  6. Appl. Surf. Sci. v.111 A. Shih;J. Yater;C. Hor;R. Abrams
  7. J. Appl. Phys. v.28 J. R. Young
  8. Electron and Ion Emission R. O. Jenkins;W. G. Trodden
  9. J. Appl. Phys. v.46 G. F. Dionne
  10. IEEE Tran. Electron Devices v.40 A. Shih;C. Hor
  11. Appl. Surf. Sci. v.111 J. J. Scholtz;R. W. A. Schmitz;B. H. W. Hendriks;S. T. de Zwart
  12. Appl. Surf. Sci. v.48/49 J. J. Fijol;A. M. Then;G. W. Tasker;R. J. Soave
  13. VLSI Technology A. C. Adams;S. M. Sze(ed.)
  14. J. Appl. Phys. v.54 H. Selier
  15. Field, Thermionic, and Secondary Electron Emission Spectroscopy A. Modin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