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ory Evaluation and Electronic Nose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Mixed Eucommia ulmoides Leaf Tea

두충혼합차 개발을 위한 관능검사 및 전자코 분석

  • 정미숙 (덕성여자대학교 교양학부) ;
  • 이미순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The leaves of Duchung(Eucommia ulmoides), an oriental medicinal plant, have a peculiar aroma of Chinese medicine and astringent taste, which make the consumer be reluctant to Duchung leaf t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ld flavored Duchung leaf tea by mixing with other plants. The flavor patterns of developed tea were analyzed using an electronic nose. Polygonatum odoratum and Elsholtzia splendens were used for improving the flavor of Duchung leaf tea. The addition of 20, 30 and 40% of Polygonatum odoratum improved the overall acceptance in hedonic sensory evaluation. The flavor pattern of the tea was describ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and the resistance ratio(R/cub gas/R$\_$air/) of sensors. The PCA plot was also used to explain the mild flavor of the tea, which was extended from the right side(positive value of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to the left side(negative value). Analysis by using an electronic nose with metal oxide sensors could be applied to detect whether mixed Duchung leaf tea was acceptable or not.

기존 두충차의 단점인 한약의 향미와 떫은맛이 완화된 두충혼합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8월 자연건조시료에 방향성 식용식물인 꽃향유를 10, 20, 30 및 40%를 각각 첨가하여 관능검사 하였을 때 꽃향유첨가군 모두가 reference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는데, 이는 꽃향유 자체의 독특한 향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둥굴레차를 시료두충차에 10, 20, 30 및 40%를 각각 혼합하여 관능검사한 결과, 둥굴레 20, 30 및 40% 첨가군이 시료두충차와 reference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p<0.01). 부드러운 향미를 지닌 둥굴레를 두충차에 첨가하면 차의 색의 강도가 완화되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일반인이 음용하기 좋은 두충혼합차가 제조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시판두충차, 시료두충차, 꽃향유첨가군 및 둥굴레 첨가군의 향미패턴을 전자코로 분석하였을 때, 시료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값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둥굴레첨가군은 제1주성분값이 주로 -0.10과 +0.05사이에 분포하였고,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 값이 -0.05∼+0.05에 분포하였다. 꽃향유 10% 첨가군은 제1주성분 값이 -0.03∼+0.05부근에, 꽃향유 20∼40% 첨가군은 +0.10∼+0.20 사이에 제1주성분 값이 분포되었다. 관능검사 결과와 전자코에 의한 향기패턴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적인 기호도가 좋은 둥굴레첨가군과 시판두충차는 제1주성분값이 -0.10∼+0.05 사이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이 분포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은 두충차는 (-) 또는 (+)쪽으로 치우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