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Volume 17 Issue 2
- /
- Pages.129-138
- /
- 2001
- /
- 2287-1780(pISSN)
- /
- 2287-1772(eISSN)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
솔잎 향미유의 제조와 기호성에 관한 연구
Abstract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s and their application to foods, especially to traditional Korean foods, were investigated. The pine needle flavor oils were prepared by the autoclaving method, and their volatile flavor components(VFCs)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ic method The major flavor components of the pine noddle flavor oil were a -pinene 31.1%, pentane 9.8%, tricyclene 7.5%, camphene 6.8%, hexanal 6.2%, propane 6.0%,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생하고 있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고 예로부터 약용, 향료, 구급 식료품 등으로 사용되어 온 소나무잎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을 분석한 후 솔잎의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utoclaving법을 사용하여 솔잎 및 솔잎분말 향미유를 제조하여 저장중의 색도 변화와 산화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솔잎과 솔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각각 54.5와 8.2%, 조지방량은 4.9와 8.1%, 조단백질량은 1.4와 2.9%, 조회분은 0.8과 2.3%, 조섬유는 2.3과 4.9%, 탄수화물은 36.2와 73.7%였다. 2.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제조한 솔잎 향미유의 산패도는 솔잎과 솔잎분말로 만든 솔잎 향미유들의 유도기간이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의 유도기간보다 각각 1.1 및 1.2배 증가되어 산패 억제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솔잎보다 솔잎분말로 제조된 향미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솔잎향미유의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기기적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육안적으로는 PNO(pine needle falvor oil)는 저장에 따라 투명해지는 반면 PPNO(flavor oil from powdered pine needle)는 혼탁해짐을 알 수 있었다. 4. 솔잎 분말 향미유에서 33종의 향기 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 주 된 성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