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gg whites

방사선 조사 난백의 물리적, 기능적 특성

  • 이경애 (순천향대학교 응용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 최윤정 (순천향대학교 응용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Effects of irradiation on the phys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egg whites were investigated. Fresh shell eggs were irradiated at 0, 0.5, 1.0, 2.0 and 3.0kGy. Egg whites were separated from eggs kept at 3$0^{\circ}C$ for 2hr. There was a considerable decrease in viscosity of egg whites with irradiation. Irradiation made egg whites darker and less greenish. The foaming properties including foaming ability and stability were examined. Irradiation led to increase in whipping power and decrease in drainage in an irradiation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howed that irradiated egg whites had good foaming ability and stability.

달걀에 0.5∼3.0kGy의 방사선을 조사한 다음 난백을 분리하여 비조사 및 조사 난백의 물리적, 기능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방사선 조사 달걀을 30$\^{C}$에서 2시간 방치한 다음 난백을 분리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점도는 방사선을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 난백이 가장 높았다. 조사 난백의 점도는 조사선량이 가장 낮은 0.5kGy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 후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달걀을 할란하여 난백의 상태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 난백은 농후난백과 수양난백의 구분이 뚜렷했으나, 조사 난백은 구별할 수 없었다. 난백의 pH는 방사선 조사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색도는 방사선 조사에 따라 명도와 녹색도가 낮아졌다(p<0.05). 난백의 기포형성력은 overrun으로 측정하였는데, 조사 난백은 대조군에 비해 overrun이 증가하였다(p<0.05). 조사선량 3kGy인 난백의 overrun은 대조군 난백에 비해 1.7배 정도 높았다. 난백의 기포 안정성은 기포를 30분 방치하는 동안 유리되는 액량으로 검토하였다. 유리액량은 대조군 난백이 가장 많았다(p<0.05). 조사 난백의 유리액량은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