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를 위한 매화천 A, B 지역 골재의 암석기재학적 시험 (ASTM C 295)

Petrographic Examination of Aggregates for Concrete from Maewhacheon A, B area (ASTM C 295)

  • 정지곤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학과)
  • 발행 : 2001.09.01

초록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골재의 화학적 안전성을 진단하는 방법 중의 하나인 암석기재학적 시험(ASTM C 295)에 관한 연구로서, 이 연구를 위하여 골재의 입도 분석, 피막 검사, 풍화 ·오염상태, 암석학적 기재, 그리고 알칼리-골재 반응성 광물 및 암석의 정성·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남 울진군 매화천 유역 A, B 지역의 하천 골재에 대하여 암석기재학적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 풍화상태는 F(신선) 등급과 WS(약간 풍화) 등급이며 골재의 피막과 오염 상태는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 알칼리-골재 반응 광물이나 구조적으로 취약한 암석이 함유된 골재는 매화천 A 지역 골재 전체의 26 wt.%, B 지역은 19 wt.%로 집계되는데 이는 양호한 골재로 볼 수 없기 때문에 화학적 방법과 몰탈바 방법으로 더욱 정밀한 시험을 거쳐 안전성이 확인되어야 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petrographic examination of aggregates(ASTM C 295) which is one of the methods to diagnose the quality of aggregates for concrete artifacts. A number of examinations including size and sieve analysis, test on the coating material, description of the weathering and contamination condition, petrographic description,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on the rocks and minerals potential to alkali-aggregates reactivity a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quality of aggregates. Petrographic description method examined on the fluvial aggregates from Maewhacheon A, B area, Uljin-gun, Kyungnam province shows that weathering grade ranges from F(fresh) to WS(slightly weathered) and coating material and contamination are not in a harmful condition. The weight percentage of the alkali-aggregates reactive minerals or structurally unstable rocks of the aggregates from study area covers 26% and 19% of all aggregates, respectively. So it is necessary to further identify their quality through the chemical(ASTM C 289) and mortar-bar method (ASTM C 227).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