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eeding Rate on Forag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Echinochloa crusglli Var. Frumentacea(Roxb) Wight In Jeju Region

제주지역에서 파종량 차이에 따른 청예피의 사료수량 및 조성분 변화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seeding rate of Jeju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iurnentacea(Roxb) Wight), 15, 20, 25, 30, 35 and 40 kilograms per a hectare were planted in April 16, 2000, respectively. The growth characterization, the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then investigated in June 28(1st cutting) and August 30(2nd cutting), 2000.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eeding rate, plant height(155.5 to 162 cm), the yield of fresh forage(61 to 73 MT/ha), dry matter forage(11.9 to 16.9 MT/ha), crude protein(0.9 to 1.6 MT/ha), and TDN(6.1 to 9.7 MT/ha) were gradually increased until the seeding furrow, 35 kg/ha. In 40 kg/ha of seeding furrow, however, those results were decreased than that of the former seeding furrow.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7.4 to 10.4%), ether extract(3.3 to 5.2%), nitrogen free extract(46.4 to 47.8%), and TDN(52.1 to 60.4%) were also similar to those of the plant heights and the each yield excepted the seeding furrow, 40 kg/ha. Namely, the each results about the contents increased in 40kg/ha of seeding furrow.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eeding rate, the stem diameter, number of leaves, number of withering leaves, and fresh weight were gradually decreased. The contents of crude fiber(30.3 to 27.5%) and crude ash(12.7 to 9.0%) were also decreased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optimum seeding rate for the best of the feed production was the seeding furrow, 35 kg/ha.

본 시험은 제주피의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16일에 ha당 15, 20, 25, 30, 35, 40kg에 해당하는 량을 조파하여 2000년 6월 28일(1차 예취)과 8월 30일(2차 예취)에 생육특성, 사초수량, 사료성분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15kg/ha 파종구에서 155.5cm였던 것이 파종량이 35kg/ha으로 증가함에 따라 162cm로 커졌으나, 그 이상 파종량을 증가할수록 작아져서 40kg/ha 파종구에서는 152.7cm였다. 경직경. 엽수, 마디수 및 개체당 무게는 파종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였다. 파종량이 15kg/ha에서 35kg/ha로 증가됨에 따라 생초수량은 61.0MT/ha에서 73.0MT/ha로, 건물 수량은 11.9MT/ha에서 16.9MT/ha로, 단백질 수량은 0.9MT/ha에서 1.6MT/ha로, TDN수량은 6.1MT/ha에서 9.7MT/ha로 증가되었다가 그 이상으로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감소되었다. 파종량이 15kg/ha에서 40kg/ha으로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7.4%에서 10.4%로 조지방 함량은 3.3%에서 5.2%로, 가용무질소물 함량은 46.4%에서 47.8%로 TDN함량은 52.1%에서 60.4%로 증가되었으나, 조섬유함량은 30.3%에서 27.6%로 조회분 함량은 12.7%에서 9.0%로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사초수량을 최고로 올릴 수 있는 파종량은 35kg/ha로 추정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