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량 교통유발시설의 적정주차 추정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Modeling of Appropriate Parking Space for Mass Traffic Generating Facilities

  • 오윤표 (동아대학교 도시조경학부) ;
  • 장무렬 (동아대학교 도시조경학과 석사)
  • 발행 : 2001.06.01

초록

본 연구는 부산의 도심에 위치한 대규모 교통유발시설 부설주차장의 적정규모 추정모형의 구축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부설주차장 이용 차량의 평균 도착시간 간격과 평균 주차시간 간격을 이용한 대기행렬시뮬레이션인 GPSS모형을 사용하여 적정 주차장 규모를 산정한 후 연상면적과 적정주차면수의 관계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회귀식을 이용하여 모형식을 구축하였다. 적정주차규모 모형을 구축한 결과 현재의 주차면 수는 적정주차면수에 비해 초과 공급되어 있어, 도심내의 주차장 과잉공급으로 인한 불필요한 승용차 이용을 방지하고, 토지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현 부설주차장의 설치기준에 대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대상시설의 선정에서 이용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는 시설들을 포함시킴으로 인해 적정주차규모가 다소 적게 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주차 이용행태만으로 적정주차규모를 산정했으나 주차장의 규모에 관한 연구는 토지이용과 교통여건, 상권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연구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suitable space of parking lots for Mass traffic instigating facilities in Pusan. After the suitable scale of parking lots estimate using GPSS, one of the Queue Simulation, with the average arriving time and the average parking time at parking lots, the formula is simulated by the Regression model to relate a total floor area and the suitable number of parking lots. The improved criteria or present parking lots is needed to prevent the unnecessary vehicles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land use. The suitable scale of parking lots estimate just with the state of using the parking lots in this study. bu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and use, traffic condition, commercial area etc.

키워드

참고문헌

  1. 주차 수요관리 방안 연구-건축물 부설주차장 설치기준 재정립을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 부산광역시 교통혼잡관리 5개년 계획, 제5권 주차수요관리 부산광역시
  3.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도심상업지역 가로에 있어서 하역의 실태분석과 하역주차공간 산정에 관한 연구 신진권
  4.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지속시간모형(Duration model)을 이용한 판매시설 이용자의 주차시간 추정에 관한 연구 이신해
  5. 컴퓨터 시뮬레이션 김재연
  6. 부산 도심지 주차문제해결방안 연구 오윤표;외
  7. 주차장 계획 · 설계 · 운영 강원갑
  8. 도시교통론 원제무
  9. 교통공학원론 도철웅
  10. 통계분석을 위한 SPSSWIN 8.0 유대근;권영식
  11. 第 22回 日本 都市計劃學會 硏究論文集 駐車場の 設置義務 基準の 見置しと 駐車對策に 關する 硏究 毛利正光;塚口博司
  12. 土木計劃學會 講演集 no.12 商業地域における 駐車施設 整備の ための 基礎的 硏究 失嶋宏光;屋井鐵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