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LANGMUIR AND ELECTRON PROBE FOR KSR-III

KSR-3 과학로켓용 전자환경 측정기 개발

  • Hwang, S. H.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Kim, J.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Kim, J. K.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Lee, S. J.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Jang, Y. S.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Park, J. J.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Cho, G. R.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KARI)) ;
  • Won, Y. I (Korea Ocean R&D Institute(KORDI))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KARI(Ko.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has measured the ionospheric electron temperature and density over the Korean Peninsular with the Langmuir and Electron Probe(LEP) onboard the Korean Sounding Rocket-II(KSR-II) In 1998. The purpose of LEP is to measure the electron density and temperature profile in the ionosphere. LEP consists of the Langmuir probe(LP) and the Electron temperature Probe(ETP) which are widely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ionospheric plazma environment . We discuss the development of the Langmuir and Electron Probe which will be onboard the KSR-III and some test results in a simulated space plasma environment with the plasma chamber at the ISAS in Japan. These measurements could contribute to the basic study of ionospheric environment which also can be compared with other reference models such as IRI and PIM.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지난 1998년 KSR-2 촤학로켓에 이온층 전자환경 측정기를 탑재하여 한반도 상공의 전자 밀도, 전자 온도, 부동 전위등을 측정하는데 성공하였다. 이온층 전자환경 측정기는 한반도 상공 이온층의 전자 온도와 밀도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2002년 상반기 발사 예정인 KSR-3 과학로켓에 탑재될 전자환경 측정기를 개발하였고 일본에서 우주 환경 모사 실험을 수행하여 측정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전자환경 측정기는 랑뮈어 프로브(Langmuir Probe)와 전자 온도 프로브(Electron Temperature Probe)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센서들의 측정 결과로부터 이온층의 전자 밀도와 온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전자환경 측정기로부터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는다면 IRI(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모델이나 PIM(Parameterized Ionospheric Model)과 비교하여 한반도 상공의 이온층 전자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우주과학회지 v.15 no.401 이재진;김준;이수진;민경욱;표유선;조광래;이황재
  2. Geophys. Res. Lett. v.28 no.1427 Croskey, C. L.;Mitchell, J. D.;Friedrich, M.;Torkar, K. M.;Hoppe, U. P;Goldberg, R. A.
  3. Earth Planets Space v.51 no.1309 Oyama, K.;Abe, T.;Schlegel, K.;Nagy, A.;Kim, J.;Marubashi, K.
  4. Rev. Sci. Instrum. v.47 no.101 Oyama, K.;Hirao, K.
  5. Planet. Space Sci. v.27 no.183 Oyama, K.;Hirao, K.
  6. J. Geomag. Geoelectr. v.37 no.413 Oyama, K.;Hirao, K.;Yasuhara, F.
  7. Ionospheres Schunk, R. W.;Nagy, A. F.
  8. J. Geophys. Res. v.70 no.2665 Spencer, N. W.;Brace, L. H.;Carignan, D. R.;Taeusch, D. R.;Niemann,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