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Salicaceae species at the An-sung Stream - Refered to Woldongcheon, Yokjungcheon, Joyoungcheon and Gisolcheon -

안성천 수계의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 - 월동천, 옥정천, 조령천, 기솔천을 중심으로 -

  • 안영희 (중앙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계열) ;
  • 양영철 (중앙대학교 대학원 원예과학과) ;
  • 전승훈 (경원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distribution pattern of Salicaceae species which are considered as obligatory riparian vegetation, and also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ir distribution and the environment factors. Eighty-three study sites by stratified sampling were selected from the upstream to the downstream of An-sung stream. Vegetation factors such as coverage by species, disturbance, et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microtopography, soil properties, etc., measured and analyzed. Salicaceae species were identified as total 2 genera, 11 species through all study area, and the average occurring species were 2.8 species.5. koreensis among other species showed highest occurring frequency at An-sung streams, and also it was distributed widely through study area. S. gracizistyla was mainly fecund at upstream sites, where sandy soil texture and high longitudinal slope were developed. S. purpurea vats. japonica was mostly observed in the sandy soil, the same as S. gracilistytu and however, was not dominant but rather mixed with S. gracitistyta and S. koreensis. On the other hand, distribution of S. glandulosa were closely related with littoral zone of the lake and the lower sea level with sandy loam and loamy sand Boils of high organic matter content. Under CCA,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distribution of Saticaceae spec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soil properties along to topography.

본 연구는 절대하천 식생으로 중요한 위치를 갖는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또한 이들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과의 관계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안성천 수계의 상류에서 하류에 이르기까지 버드나무과 식물이 우점한 83개의 방형구에 대해 식생요인과 지형특성 및 토양환경의 조사분석을 토대로 수행되었다. 안성천 수계의 버드나무과 식물은 2속 11종이 출현하였고 평균 출현종수는 2.8종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수계에서 버드나무(5. koreensis)의 출현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전조사지역에 고르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갯버들(S. gracilistyla)은 사토의 토양조건과 하상의 경사가 심하고 유속이 빠른 하천의 상류부와 저수지 하부에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키버들(S. purpurea var. japonica)은 비교적 사토에서 출현빈도가 높았으며 단독으로 우점하는 경우는 드물고 갯버들(S. gracilistyla) 및 버드나무(S. koreensis)와 혼재하는 경우가 많았다. 왕버들(Salixgjandulosa)은 사양토와 양질사토에서 출현빈도가 높았고 연중수량이 풍부한 저수지 부근과 하천의 상류에서 운반되어 쌓인 모래 퇴적층인 하중도나 사주에 우점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준상응분석 결과 버드나무과 식물의 분포는 미지형과 경사 등 환경구배에 의한 토양입자와 유기물 함량 등의 환경요인 수준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