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the middle term in the integration of the two premises in linear syllogistic reasoning

선형 삼단 논법의 두 전제 통합 과정에서 중간 항목의 역할

  • Published : 2001.09.0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at the integration of the two premises in linear syllogism is mediated by the middle term the term that is repeated in the two premises. In Experiment 1. we examined whether representing the middle term is more important than representing the end terms. We asked a question to each premise. Depending on the order of the questions either the two end terms or the middle term became the answer in both premises. Participants solved the problems better when the middle term became the answer suggesting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present the middle term than the end terms. In Experiment 2 we examined whether additional processing is needed for the integration beyond establishing co-referential link through the middle term. We pronominalized the middle term in the second premise and provided two kinds of information to disambiguate the pronoun. In the direct information condition we provided information about who the pronoun is whereas in the indirect information condition we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pronoun. Participants solved the problems more quickly in the indirect information condition than in the direct information condition indicating that mere co-referential link was not enough and that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middle term needs to be comput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two premises.

본 연구에서는 선형적 삼단 논법에서 결론의 생성이 두 전제에서 공통되는 항목인 중간 항목에 대한 처리를 매개로 이루어짐을 보이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Clark(1969a)의 언어설과 조명한과 김청택(1988)의 언어 이해설을 대비시켜, 두 전제에서 질문과 합치하도록 말단 항목을 표상하는 것이 문제 풀이에 더 중요한지 아니면 두 전제에서 중간 항목을 표상하는 것이 더 중요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전제 각각에 질문을 하여 두 전제에서 모두 중간 항목이 답이 되거나 또는 말단 항목이 답이 되도록 하였다. 질문에 의해 중간 항목의 부호화가 용이하였던 중간 항목 표상 조건이 말단 항목의 부호화가 용이하였던 말단 항목 표상 조건보다 문제 풀이가 더 빨라 중간 항목의 처리가 문제 풀이에 더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실험 2에서는 중간 항목을 통해 전제간에 공통 참조적 연결을 이루는 것만으로 전제가 통합될 수 있는지 아니면 중간 항목에 대한 상대적 위치 정보가 부가적으로 더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두 번째 전제의 중간 항목을 대명사화 하여 중간 항목의 확인을 어렵게 만든 후, 중간 항목이 누구를 가리키는지를 직접 알려준 조건과 중간 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준 조건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중간 항목의 상대적 위치를 알려준 경우의 수행이 더 우수하였는데, 이는 중간 항목의 상대적 위치 정보가 처리되는 것이 문제 풀이에 중요하다는것을 나타낸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삼어 서열 문제에서 두 전제의 통합은 중간 항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중간 항목은 두 전제간의 공통 참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말단 항목 대한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어 중간 항목을 중심으로 말단 항목의 위치가 계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주었다.핵형이 생성된다. 이러한 기전에 의해서 만들어진 새로운 완전한 배우체들은 동일한 형태의 배우자와 수정되므로써 새로운 상동염색체를 가진 종 L. dorsalis, L. leucopus, L. ruficaudatus, L. edwardsi가 형성되었다 이 결과들은 유전적으로 완전한 새로운 종이 교잡종의 군집으로부터 활성화된 염색체들의 융합, 접합기에서 환형으로의 배열 기전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aritoxin으로 보고한 ST-1은 ciguatoxin의 형태인 less polar cigutoxin (LPCTX) 으로 생각된다.에서 각각 대조구의 57, 413 및 315% 증진되었다. 거품의 열안정성은 15분 whipping시, pH 4.0(대조구, 30.2%) 및 5.0(대조구, 23.7%)에서 각각 $0{\sim}38.0$$0{\sim}57.0%$이었고 pH 7.0(대조구, 39.6%) 및 8.0(대조구, 43.6%)에서 각각 $0{\sim}59.4$$36.6{\sim}58.4%$이었으며 sodium alginate 첨가시가 가장 양호하였다. 전체적으로 보아 거품안정성이 높은 것은 열안정성도 높은 경향이며, 표면장력이 낮으면 거품형성능이 높아지고, 비점도가 높으면 거품안정성 및 열안정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protocol.eractions between application agents that are developed using different languages. Dynamic agent invocation is accomplished by Java Native Interface(JNI) that links two heterogeneous methods,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부정 등가 삼어 서열 문제 풀이에서 전제들의 통합과정 고성룡
  2. 인지과학 v.1 no.1 직선적 삼단 논법의 형상 효과:언어 이해설 조명한
  3. 심리학의 연구 문제 v.3 직선적 삼단 논법 추리에서의 전제 통합과정:중간어 통합과정에 의한 추리과정의 설명 조명한;김청택
  4. 삼어 서열 문제의 전제의 표상과 부정 동등 문제의 형상 효과 조명한;고성룡
  5. Psychological Bulletin v.89 Reevaluation of the lit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transitive inference Breslow, L.
  6. Psychological Review v.76 Linguistic processes in deductive reasoning Clark, H. H.
  7.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v.82 Influence of language on solving three-term series problems Clark, H. H.
  8.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19 Individaul difference in working memory and reading Daneman, M.;Carpenter, P. A.
  9.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2 Social reasoning and spatial paralogic De Soto, C. L.;London, M.;Handel, S.
  10.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21 Searching memory for congruent or incongruent information Foos, P. W.
  11. Psychological Review v.75 Construction spatial images:A strategy in reasoning Huttenlocher, J.
  12. Cognition v.1 The three-term series problem Johnson-Laird, P. N.
  13. Inference and consciousness Mental Models·Towards a cognitive science of language Johnson-Laird, P. N.
  14. Psychological Review v.85 Toward a model text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Kintsch, W.;van Dijik, T. A.
  15. Inferring form language Noordman, L. G. M.
  16.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14 The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three-term series problem Potts, G. R.;Scholz, K. W.
  17. Cognition v.3 Converging evidence for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imagery in problem solving Shaver, P.;Pierson, L.;Lang, S
  18.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v.14 Representation and process in linear syllogistic reasoning Sternberg, R. J.
  19.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v.72 Reasoning with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linear syllogism Sternberg, R. J.