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o-Temporal Distributional Changes of Bamboo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

  • 공우석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resent work aims to analys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Korean bamboos. The northern limit of Korean bamboo species occurs at Baekryung Island(124°10'E, 37°55'N), Hoochang(41°22'N) and Myungchon(129°41\`E, 41°10'N). The presence of bamboo fossils in Korea dates back from Tertiary, but widespread use of bamboos can be noticed since 1454. Reconstructed ranges and temporal changes of bamboo, based upon the eight historical records from 15th to 20th centuries, indicates that both climatic and anthropogenic factors were responsible for the changes of distributional range. The spread of bamboos was balanced by its disappearance due to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total bamboo area showing little change. Due to the tendency to spread extensively by means of underground stems, bamboos often invade adjacent forests and disturb natural vegetation. Prope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ies, therefore, are required for the maintenance of rural landscape.

우리 나라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분석하였다. 참대속부터 산죽속에 이르는 모든 대나무의 분포 북한계선은 백령도 - 장수산 - 멸악산 - 용문산 - 명지산 - 추애산 - 후탕 - 묘향산 - 명천에 이르는 선 남쪽이다. 화석에 따르면 한반도의 대나무는 지질시대부터 분포하였고, 고문헌에 의하면 대나무는 조선시대에 의식주 등의 생활재료로 널리 사용되었다. 조선 초기부터 일제 때까지의 고문헌들을 기초로 한 왕대와 이대 등 군현별 시대적 분포지 복원에 따르면 대나무는 시대에 따라 분포지가 변화하였다.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 변화는 기후변화 등 자연적 요인과 함께 재배와 이식 등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것이다. 최근 국내 죽세산업이 침체되면서 대 나무숲이 다른 용도로 바뀌어 사라지거나, 반대로 방치되어 확산되면서 자연식생을 교란시키므로 농촌경관의 유지를 위하여 관리와 보전 대책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생태학회지 v.8 no.2 한반도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환경요인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공우석
  2. 2001년도 대한지리학회 춘계학술대회요약집 대나무숲의 분포역 변화와 환경요인 공우석
  3. 한국제4기학회지 v.15 no.1 조선시대 난대성 식물의 분포역 변화 공우석;원학회
  4. 한국의 기후와 문화 김연옥
  5. 기후변화-한국을 중심으로- 김연옥
  6. 농수산 고문헌 비요 김영진
  7. 우리 문화 길잡이 김익두
  8. 한국임학회지 v.25 대나무류의 유관속초에 의한 형태학적 연구 김재생
  9. 번역 유인물 기후와 역사 김종규(역)
  10. 대나무 김준호
  11. 죽세공예산업진흥10개년계획(1980-1989) 담양군
  12. 북한천연기념물편람 리성대;리금철
  13. 문화재연감 2000 문화재청
  14.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38호 조선시대 산림사료사 박경석;배재수;최덕수;이철영
  15. 한림저널 대나무숯. 죽초액의 제조법과 이용법 박상범(역);이게지마 요우겐 저
  16. 임업통계연보 제30호 산림청
  17. 조선수공업사 손영종;조희승
  18. 진주농대 논문집 v.2 한국 죽류 자원의 역사적 고찰 신동소
  19. 한국문화사대계 Ⅲ과 학기술가 한국생물학사 이덕봉
  20. 조선전 이민수
  21. 문화재조사 연구 입문 이영진;김약수
  22. 동방학지 v.54-56 한국 구석기 유적과 식물상 분석 연구 이융조
  23. 우리겨레의 전통 생활 이이화
  24. 임업연구원연구자료 제46호 대나무 재배기술 임업연구원
  25. 역사와 현실 no.5 15세기 자연재해의 특성과 대책 오종록
  26. 지리학총 v.26 지리학에서의 경관 분석 원학회;공우석
  27. 소나무와 우리문화 조선시대의 소나무 시책 전영우;전영우 편
  28. 한국임학회지 v.2 전라남도의 대나무숲 형황과 그 대선대책 정동오
  29. 한국임학회지 v.8 지위별 왕죽 및 맹종죽에 있어서의 생장인자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정영관;김장수
  30. 한국식물학회지 v.2 한국산 죽류에 관한 연구 정현배
  31. 식물분류학회지 v.4 no.1,2 한국산 Phyllostachys속에 대한 재검토 정현배
  32. 원색한국수목도감 조무연
  33. 조선수공업사 홍희유
  3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v.24 世宗莊憲大王 地理志
  35. 고전국역총서 민족문화추진회 新增東國興地勝
  36. 한국지리지총서 全國地理志;東國地理志;한국학문헌연구소 편
  37. 한국사료총서 제20 興地圖書 上,下
  38. 서울대학교 고전총서 제4권 v.1 서유구 林園十六志(林園經濟志)
  39. 한국지리지총서 大東地志;김정호;한국학문헌연구소 편
  40. 세종대왕기념사업회 國譯 新增文備考 財用考
  41. 조선총독부 朝鮮物産
  42. 朝鮮農會報 v.11 no.1 朝鮮의 竹林(中) 石戶谷勉
  43. Jour. Kor. For. Sci. v.2 On the present bamboo groves of Chollanam-do province and the proper treatment of them Chung D.O.
  44. Acta Pyototax. Geob. v.13 no.1,2 Studies on the variability of the Genus Sasa Isa G.
  45. Journal of Sustainable Forestry v.6 no.1/2 Net production and carbon cycling in a bamboo Phyllostachys pubescens Isagi Y.
  46. Jour. Amer. Bamboo Soc. v.4 The genera of bamboo Ohrnberger D.
  47. Index to Japanese Bambusacene Suzuki S.
  48. Japanese Journal of Ecology v.47 Range expansion of bamboo species in southern areas of Kyoto Prefecture Torii A.;Isagi Y.
  49. Hakuyusha Useful Bamboo and Edible Sprouts Ueda K.
  50. Arctic and Alpine Research v.10 no.2 Altitudinal vegetation belts of Japan with special regerence to climatic conditions Yoshino 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