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깍두기에 여러 가지 점증제를 첨가하여 2$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도는 점증제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숙성 말기 (숙성 7일)에 xanthan gum 첨가군과, 산처리 전분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유리당 함량은 점증제 첨가군이 담금 직후에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숙성됨에 따라 크게 감소하여 숙성 7일에는 xanthan gum을 제외한 모든 점증제가 대조군보다 낮았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대조군과 점증제 첨가군 모두 포도당과 과당이었으며, 이들 당의 함량은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만니톨은 증가하였다. 점도는 담금직 후에는 점증제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나 숙성초기에 급격히 감소하여 대조군과 유사하였으나 xanthan gum 첨가군의 점도는 대조군보다 매우 높았고 숙성이 진행되어도 점도의 감소정도가 적어 초기 점도를 유지하였다. 경도는 숙성이 진행되면서 감소하였으나 찹쌀, 인산가교전분, xanthan gum 첨가군은 숙성 7일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관능적 특성으로 신냄새, 신맛, 감칠맛은 모든 처리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군냄새는 숙성 5일에 찹쌀, 밀가루, 산처리 전분 첨가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xanthan gum, 인산가교 전분, 초산아디피산 전분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분맛은 xanthan gum 첨가군이 숙성 3일 이후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점도는 숙성이 경과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낮아졌 으나 인산가교 전분과 xanthan gum 첨가군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경도는 찹쌀, 초산아디피산 전분, 인산가교 전분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xanthan gum 첨가군은 숙성기간이 경과되어도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p<0.05). 전반적인 기호도는 숙성 7일에 찹쌀, 밀가루, 옥수수 전분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산처리 전분, 인산가교 전분, xanthan gum 첨가군은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Effect of various thickening agents on kakdugi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by measuri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Paste of seven kinds of thickening agents (wheat flour (WF), waxy rice flour (WR), corn starch (CS), acid modified starch (AM), aretylated distarch adipate (AA), hydroxypropyl distarch phosphate (PP) and xanthan gum (XG) ) at 0.25% concentration was added to kakdugi. Total acidity during fermentation was not different among thickening agents, but slightly lower in XG than control at the 7th day of fermentation. At 0 day of fermentation, free sugar amount were higher in thickening agent addition groups than control, but rapidly decreased to below control at the 7th day of fermentation, except XG. Glucose and fructose which were the major free sugars, decreased rapidly during fermentation, whereas mannitol increased in all samples. Viscosity of kakdugi liquid was much higher in thickening agent addition groups than control at 0 day of fermentation, but rapidly decreased from 1 day of fermentation. However, initial viscosity was maintained only in XG. Hardness at the 7th day of fermentation was higher in WR, PP, XG than control.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shows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ur odor, sour taste and savory taste among samples. Moldy odor was higher in WR, WF and AM,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XG, PP, AA compared to control. Viscosity of XG and PP, and starchy taste of XG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Overall preference of XG, AM, P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ontrol. Xanthan gum was considered to be a good thickening agent for kakdugi but it is necessary to find a minimum concentration for kakdugi since starch taste of xanthan g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