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x and Age Composition of the North Korean Population: An Evaluation of the 1994 North Korean Census Data

북한인구의 성 및 연령구조에 대한 재검토: 1994 인구센서스 자료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1.01.01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sex and age composition of the 1994 North Korean census data. First this paper describes the background information concerning the first population census ever taken in North Korea since the separation of the North and South. It utilizes the available data to explain the trend and current population status of North Korea. The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point out and analyze the problems in the sex and age composition of the North Korean census data. One of the most striking characteristics of the census data is that an enormous portion of the young male population was excluded from the census counts. Such omissions are strongly suggested by a incredible drop in sex ratios for the age groups of 16 to 25. In addition, the total sum of the population by age groups turns out to be substantially smaller than the total sum of the population by geographical regions. The total discrepancy amounts to 691 thousand. Along with sex ratios and age ratios, Myers indices, UN age-sex accuracy indices, indices of relative difference, and indices of dissimilarity a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of sex and age composition in the North Korean census data. Finally, this paper readjusts the sex and age composition of the 1994 census data, and attempts to produce a more accurate population of North Korea.

이 연구는 북한의 1994년 인구센서스 자료에 나타난 성 및 연령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1994년 1월 남북분단 이후 최초로 실시된 북한 인구센서스의 배경과 특징을 설명하고, 아울러 가용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북한인구의 추세와 현황을 개관하였다. 이 연구의 초점은 북한 인구센서스 자료의 성 및 연령구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재검토하는 데 맞추어져 있다. 북한이 제공하고 있는 인구자료에는 16-25세 연령집단의 남녀 성비가 비정상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총인구규모에 있어서도 연령별 인구합계와 지역별 인구합계가 다르게 기재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 인구센서스 자료에 나타난 성 및 연령구조의 특징과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몇 가지 지수들이 작성되었으며,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북한인구의 성 및 연령별 분포를 재구성하여 수정인구를 추정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