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in Janghung Using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 and Geospatial Information

산사태와 지형공간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장흥지역 산사태 취약성 분석

  • 이사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가지질자원정보센터) ;
  • 지광훈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가지질자원정보센터) ;
  • 박노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가지질자원정보센터) ;
  • 신진수 (중앙항업 지리정보연구소/시스템개발팀)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containing the process, which reveals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 sets, which occurred in Janghung area in 1998. Landslide locations were detected from remotely sensed image and field survey and topography, soil, forest, and land use data sets were constructed as a spatial database in GIS. As the landslide occurrence factors, slope, aspect, curvature and type of topography, texture, material, drainage and effective thickness of soil, type, age, diameter and density of wood and land use were used. To ex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base, likelihood ratio wa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of Yongin area. Also,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dex was calculated by summation of the likelihood ratio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was generated using the index.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landslides and geospatial database is helpful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lilndslide and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map is used to reduce associated hazards, and to plan land use and construction.

본 연구는 1998년 경기도 장흥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취약성 분석을 목표로 산사태와 공간정보사이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산사태 발생위치는 원격탐사 영상과 야외 조사를 통해 작성하였으며, GIS 기반의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지형, 토양, 임상 및 토지이용자료를 구축하였다. 지형자료로는 경사, 방위, 곡률을, 토양자료로는 토질, 토양 배수, 토양 모재, 유효 토심을, 임상자료로는 임상, 영급, 경급 및 밀도를 이용하였다. 산사태 발생과 공간정보사이의 관계는 우도비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추출하였으며, 경기도 용인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분석결과와 비교를 하였다. 그리고 계산된 우도비를 이용하여 연구지역 전체에 대한 산사태 취약성 지수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사태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정보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분석결과는 산사태 피해 예방을 위한 방재사업, 국토개발 계획 등의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지반공학회지 v.9 1991년 용인-안성 지역 산사태연구 박용원;김감래;여윤광
  2. 다목적실용위성과 공간정보를 이용한 산사태 예측 기법 비교연구 신진수
  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기법 개말 및 적용 연구 이사로
  4.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지 v.33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1991년 용인지역 산사태분석 이사로;민경덕
  5. 한국의 산사태 발생요인과 예지에 관한 연구 최경
  6. 사면 안정 공법 토질안정재료위원회
  7.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geoscientists: modeling with GIS, Pergamon Bonham-Carter, G.F.
  8.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v.65 Probability prediction models for landslide hazard mapping Chung, F.C.;Fabbri, A.G.
  9. Environmental Geology (In Press) Statistical analysis of landside susceptibility at yongin, Korea Lee, S.;K. 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