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Based on a Distributed System Concept

분포형 개념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웅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부) ;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박무종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focused on improving the methodology for the determination of parameters involved in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 based on distributed system concept and investigation of sediment delivery ratio. Generally the distributed system concept consists of grid networks throughout the watershed and sediment can be traced from grid to rid in the direction of the steepest descent. The sediment yield data together with physical data of 10 small irrigation reservoirs in Kyounggi-Do are collected. After the sediment delivery ratio of a grid is defined to be related tothe fraction of forested or covered with delivery proofing area of the grid, the preportionality coefficient(C$_1$) is introduced. The distributed system model is calibrated using the available data for 8 reservoirs and is verified with the data for the ramaining 2 reservoirs, and regression analysis is made to express the proportionality coefficient $C_1$ in terms of watershed physical characteristics. By applying this results the verification of the distributed system model for 2 reservoirs showed a fair result, which justifi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in the present study.

본 연구는 분포형 개념에 기초한 USLE(Universal Soil Loss Equation)의 매개변수의 산정방법과 유역에서 발생한 유사전달률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그리드를 이용한 분포형 개념의 모형은 경사가 가장 급한 방향으로 한 그리드에서 다른 그리드로 유사를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는 기존에 조사된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10개의 농업용 저수지의 토사유출량과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을 수집하여 연구에 이용하였다. 한 그리드의 유사전달률은 그 그리드의 숲이나 토사이동을 방해하는 면적비와 관계가 있다고 정의하고 $C_1$이라는 비례상수를 도입하였다. 8개 저수지에 대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나머지 2개 저수지에 대하며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역의 물리적인 특성과 $C_1$과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를 2개의 저수지 유역에 검정한 바 적절한 결과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92a). 댐 설계를 위한 유역단위 비유사량 조사.연구, pp. 74-80
  2. 건설부 (1992b). 댐 설계를 위한 유역단위 비유사량 조사.연구(부록), pp. 325-331
  3. 국립방재연구소 (1998). 개발에 따른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I). 행정자치부
  4. 김웅태 (1998). 분포형 개념을 이용한 토사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pp. 56-64
  5. 류희정, 김시원 (1976). '저수지의 퇴사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9권, 제2호, pp. 67-75
  6. 서승덕, 임홍익, 천만복, 윤경덕 (1988). '유역의 지상적 요인과 저수지 비퇴사량과의 관계분석.'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0권, 제4호, pp. 45-61
  7. 안상진, 이종형 (1984). '저수지 퇴사량과 유역인자와의 상관.'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17권, 제2호, pp. 107-112
  8. 유시창, 민병형 (1975). '저수지의 퇴사에 관한 연구-진양지구를 중심으로.'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17권, 제3호, pp. 46-53
  9. 윤용남 (1981). '관개용 저수지의 연평균 퇴사량과 저수 용량 감소율의 산정.'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1권, 제1호, pp. 69-76
  10. 이석민 (1993).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금강유역의 토양유실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정필균, 고문환, 임정남, 임기태, 최대웅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한국토양비료학회, 제16권, 제2호, pp. 112-118
  12. Ferro, V. (1997). 'Further remarks on a distributed approach to sediment delivery.'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Vol. 42, No. 5, pp. 633-647
  13. Julien, P.Y. and Marcel F. (1987). 'Macro scale analysis of upland erosion.'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Vol. 32, No. 3, pp, 347-358
  14. Kothyari, U.C. and Jain, S.K. (1997). 'Sediment yield estimation using GIS.'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Vol. 42, No. 6, pp. 833-843
  15. Walling, D.E. (1983). 'The sediment delivery problem.' Journal of Hydrology, ASCE, Vol. 65, pp. 209-237 https://doi.org/10.1016/0022-1694(83)90217-2
  16. Wischmeier, W.H., and Smith, D.D. (1978).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USDA., Agricultural Handbook No. 537
  17. Wolock, D.M. and Price, C.V. (1994). 'Effects of digital elevation model map scale and data resolution on a topography-based watershed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11, pp. 3041-3052 https://doi.org/10.1029/94WR01971
  18. Zhang, W. and Montgomory, D.R. (1994). 'Digital elevation model grid size, land scape represent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4, pp. 1019-1028 https://doi.org/10.1029/93WR03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