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Change of Hydrologic Conditions due to Global Warming : 1. An Analysis on the Change of Temperature in Korea Peninsula using Regional Scale Model

지구온난화에 따른 수문환경의 변화와 관련하여 : 1. 국지규모 모형을 이용한 한반도 기온의 변화 분석

  • 안재현 ((주)건일엔지니어링 수자원부) ;
  • 윤용남 (고려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이재수 (전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1.08.01

Abstract

Even though the increase of greenhouse gases such as $CO_2$ is thought to be the main cause for global warming, its impact on global climate has not been revealed clearly in rather quantitative manners. However, researches using Genral Circulation Model(GCM) has shown that the accumulation of greenhouse gases increases the global mean temperature, which in turn impacts on the global water circulation pattern. A climate predictive capability is limited by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t process governing the climate and hydrologic systems. The prediction of the complex responses of the fully coupled climate and hydrologic systems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development of models that adequately describe the relevant process at a wide range of spatial and temporal scales. These models must ultimately couple the atmospheres, oceans, and lad and will involve many submodels that properly represent the individual processes at work within the coupled components of systems. So far, there are no climate and related hydrologic models except local rainfall-runoff model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change of temperature in Korean Peninsula using regional scale model(IRSHAM96 model) and GCM data obtained from the increasing scenarios of $CO_2$ Korean Peninsula increased by $2.5^{\circ}C$ and the duration of Winter in $lxCO_2$ condition would be shorter the $2xCo_2$ condition due to global warming.

장래 $C0_2$의 증가에 따른 지구 기온의 상승은 그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강수량의 경우는 대기대순환모형(General Circulation Model, GeM)의 종류에 따라 감소에서 증가까지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강수량의 변화는 평균적인 개념의 연평균, 계절평균이나 월 평균도 중요하지만 국가적인 재해와 관련된 홍수나 가뭄의 발생도 중요한 관심사항이 된다. 홍수나 가뭄의 발생변화를 적절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측면에서 대 기대순환모형의 결괴를 중규모 또는 소규모 대기모형에 연계히여 한반도를 중섬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수문 모형과의 연계를 통한 지변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대기-수문 모형의 적용이 미미한 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Kavvas 등 (1995)이 지표면 과정과 중규모 대기모형을 접합하여 개발한 국지규모 수분대기모형인 IRSHAM96 모형(Integrated Regional Scale Hydrologic/Atmospheric M Model)을 이용하여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기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C0_2$ 배증에 따라 한반도의 기온은 연평균 $2.5^{\circ}C$ 정도의 상숭승이 예측되었으며, 2월과 11월의 기온은 각각 $4.5^{\circ}C$$5.5^{\circ}C$의 높은 상승이 예상되어 겨울이라는 계절이 짧아질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계절적인 변화로 인해 한반도 생태계에 커다란 변화가 초래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다른 계절의 기온도 상대적으로 높아질 것을 감안한다면 생태계에 커다란 재양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겨울철의 상대적으로 높은 기온 상승은 수자원의 특성에도 커다란 변화가 생길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식 (1994) '지구온난화와 동반된 한반도 기온변화의 시나리오 연구(1).' 한국기상학회지, 한국기상학회, 제30권, 제2호,pp 247-260
  2. 서용원, 김영오 (2000), '선진국의 기후변화 연구동향(I): 유출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22-31
  3. 차종환, 이우철, 이순애 (1974), 한국의 기후와 식생, 문운당
  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3a).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 II 해양, 수문학 분야, 기상청
  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3b).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심포지움 : IV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 기상청
  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4).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 과학기술처
  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1995). 기후변화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구 환경관련 대책 연구(II), 과학 기술처
  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1993).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 환경부, 과학기술처
  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1994)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I), 환경부, 과학기술처
  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시스템공학연구소 (995). 지구 환경 감시 및 기후 변화 예측 기술,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영상처리 기술개발연구(III), 환경부, 과학기술처
  11. 日本 土木硏究所 (1996) 地球溫暖化が日本域における水文循環に及ばす影響の豫測に關する硏究報告書, 日本 建設省
  12. Chen, Z-Q, Govindaraju, RS. and Kavvas, M.L. (1994a). 'Spatial averaging of unsaturated flow equations under infiltration conditions over areally heterogeneous fields l. Development of model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0, No.2, pp. 523 -533 https://doi.org/10.1029/93WR02885
  13. Chen, Z-Q, Govindaraju, RS. and Kavvas, M.L. (1994b). 'Spatial averaging of unsaturated flow equations under infiltration conditions over areally heterogeneous fields 2. Numerical simulations.' Water Resource Research, Vol. 30, No.2, pp. 535-548 https://doi.org/10.1029/93WR02884
  14. Conway, D, Wilby, RL. and Jones, PD. (1996). 'Precipitation and air flow indices over the British Isles.' Climate Research, 7, pp. 169-183
  15. Grotch, S.L. and MacCracken, Me. (1991). 'The use of general circulation models to predict regional climate change.' J. of Climate, 4, pp. 286-303 https://doi.org/10.1175/1520-0442(1991)004<0286:TUOGCM>2.0.CO;2
  16. Gyalistras, D, von Storch, H., Fischlin, A. and Beniston, M (1994). 'Linking GCM-simulated climatic changes to ecosystem models: case studies of statistical downscaling in the Alps.' Climate Research, 4, pp. 167-189
  17.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990) Climate Change The IPCC Scientific Asses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 Kavvas, ML., Chen, Z-Q and Tan, L. (1995). Development of a mesoscale atmospheric model for the scale of japan: Phase 4-Climate change study of japan by fully coupled small domain hydrologic-atmospheric model of japan, Dept. of Civil & Envir. Eng., Univ. of California, Davis
  19. Manabe, S. and Wetherald, RT. (1975). 'The effect of doubling $CO_2$ concentration on the climate of a general circulation model.' J. Atmos. Sci., 32, pp. 3-15
  20. Wilby, RL. (1994). 'Stochastic weather type simulation for regio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Water Resources Research, 30, pp. 3395-3403 https://doi.org/10.1029/94WR01840
  21. Wilby, RL. (1997). 'Non-stationarity in daily precipitation series: implications for GCM down scaling using atmospheric circulation ind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7, pp, 439-454 https://doi.org/10.1002/(SICI)1097-0088(19970330)17:4<439::AID-JOC145>3.0.CO;2-U
  22. Wilby, RL. and Wigley, T.M.L. (1997). ' Downscaling General Circulation Model output: a review of methods and limitation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1, pp. 530-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