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atus Quo on the Multi-layer Planting at the landscape Planting Area in Apartment and Neighborhood Park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조경식재공간에서 다층식재의 실태분석 -수도권 아파트와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 이동익 (고려대학교 대학원 조경학연구실)
  • Published : 2001.04.01

Abstract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multi-layer planting which have engineering, ecological and landscape benefit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tatus of multi-layer planting in the apartment and neighborhood park in Seoul. This study was also aimed to seek for the problematic matters, and suggest a solution on the current multi-layer plan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nce landscape woody plants have been classified just as tree and shrub in Korea, the classification for the multi-layer planting has been unreasonable, and landscape woody plants might have been classified as tree, sub-tree and shrub, or upper, middle, and lower-layer, It could be defined that upper layer is over eight meters in full growth, middle over 3-8 meters and lower under 3 meters. 2) In apartments, the upper layer consisted of eighteen species, the middle and lower layer seven species each. In neighborhood parks, the upper layer consisted of fifteen species, and the middle and lower layer five species each. 3) In terms of planting year of the surveyed area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pecies when planting year of the apartment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half(1900-1995) and the second(1996-2000). But, in terms of individual occupation, the percentage was decreased in upper layer, while there was increasing in middle and lower layer. 4) As the result of survey of multi-layered area, it appeared that apartment was shown 0.65 percent and neighborhood park 0.61 percent of the planted area, which was less than 1 percentage of landscape architecturally planted area. 5) In apartment, the number of individual in middle layers has been increased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but with respect to the correlation with multi-layered area, the apartments had the "$\rho$=0.208", saying that increasing middle layer was scattered planting instead of multi-layered planting. 6) In planting at the apartments in Korea, the planting density was limited, because the layer division was restricted to only tree and shrub. On the contrary, it was divid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tree in Japan. Therefore, in Korea, it should be classified as the planting density by dividing into tree, sub-tree, and shrubs, or upper, middle and lower tree by the law. And,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multi-layered planting has a proper organic relation as well as the planting density.g density.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조경학회지 v.27 no.5 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식재설계방법의 개발 -시각적선호도와 생태적 다양성의 상호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귀곤;조동길;차영두;황기현
  2. 한국조경학회지 v.24 no.1 도시환경림의 생태미학적 경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김성균
  3. 한국조경학회지 v.26 no.3 아파트단지 인공지반의 계획적 평가에 관한 연구 김유일;오정학;김인혜;윤홍범
  4. 아파트단지의 조경식재 김용수
  5. 아파트단지내 야생조류 서식공간으로서 녹지특성연구 김지석
  6. 자연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논문집 v.3 no.2 식재디자인에 있어 자연주의적 접근 노재현
  7. 대한주택공사보고서 공동주택단지 식재밀도 개선에 관한 연구 대한주택공사주택연구소
  8. 한국조경학회지 v.23 no.2 식생에 의한 소음감쇄효과 박달곤;김용식
  9. 한국조경학회지 v.26 no.3 주거단지의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평가 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박원규;안건용
  10. 아파트단지 조경수목선정기준에 관한 연구 신규환
  11.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 v.2 no.1 주택단지 조경식재설계에 관한 기초연구 신상섭
  12. 한국조경학회지 v.15 no.3 조경배식 설계에 관한 연구(I) 심우경
  13. 한국조경학회지 v.18 no.3 조경식물의 도로교통 감쇄기능에 관한 기초연구(I) 심우경;국찬;김선우
  14. 환경과 조경 v.58 생태적 조경설계를 통한 조경관리 심우경
  15. 환경과 조경 v.64 조경식재의 비과학성 심우경
  16. 한국조경학회지 v.22 no.1 도시의 벽면녹화를 위한 벽면식생조사연구 심우경;이숙미
  17. 한국조경학회지 v.28 no.2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 개발 양병이;이관규
  18. 응용생태학회 v.2 no.1 치악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오구균;권태호;조일웅
  19.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창덕궁 후원 자연식생분석을 통하여- 오구균
  20. 한국조경학회지 v.18 no.2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의 차폐수종 선발에 관한 연구 오구균
  21. 사회과학 분석법 오택섭
  22. 마우스로 잡는 SPSS 8.0 우수명
  23. 조경배식학 윤국병
  24. 한국조경학회지 v.28 no.2 도시공원의 기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용환;송태갑
  25. 한국조경학회지 v.20 no.1 도시내 개발대상자의 생태적 경관조성 계획에 관한 연구 이경재;조우;최송현
  26. 한국조경학회지 v.20 no.4 도시림의 생태적 관리계획에 관한 연구 이경재;조우;류창희
  27. 한국조경학회지 v.23 no.3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 환경림 조성기법연구(I) 이경재, 조우;한봉호
  28. 산림생태학 이경준;한상섭;김지홍;김은식
  29. 산림환경과 조류의 생태 환경과 야생동물 심포지움 이우신
  30. 한국생태학회지 v.18 no.3 길드에 의한 산림환경과 조류군집 변화 분석 이우신;박찬열
  31. 한국조경학회지 v.24 no.1 도시녹지의 기온 및 지온완화효과에 관한 연구 이은엽;문석기;심상렬
  32. 경관분석론 임승빈
  33. 한국조경학회지 v.21 no.2 도시림관리를 통한 식물 종다양성 증진에 관한 연구 조우;이경재
  34. 한국조경학회지 v.26 no.1 도시환경림 및 군락식재지의 배식기법연구 조우;이경재
  35. 한국조경학회지 v.22 no.4 주택에너지 절약을 위한 식재계획지침 조현길
  36. 한국조경학회지 v.23 no.3 도시녹지에 의한 대기 CO2의 흡수 조현길
  37. 환경생태학회지 v.12 no.1 서울시의 토지이용 및 녹지구조 - 강남구 및 중랑구를 중심으로- 조현길;이경재;권전오
  38. 한국조경학회지 v.27 no.2 춘천시 주거지구내 수목피도의 차이가 난냉방에너지 이용 및 비용에 미치는 효과 조현길;안태원
  39. 한국조경학회지 v.27 no.5 도시녹지의 에너지절약 및 Co2농도저감과 계획지침 조현길;이기의
  40. 조경설계기준(내부설계기준) 주택공사
  41. 대기정화식수지침 진희성;한상욱;김은식
  42. 한국조경학회지 v.27 no.4 조류서식지 평가 모형을 이용한 서울시 녹지네트워크 구상 차수영;박종화
  43. 한국조경학회지 v.26 no.2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식재조례 기준의 현황 및 개선방향 최일홍;황경희;이규목
  44. 조경식재설계론 한국조경학회
  45. 조경수목학 한국조경학회
  46. Plants in the Landscape Carpenter, P. L.;T. D. Walker;F. O. Lanphear
  47.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Assessment of Landscape Quality Daniel, T. C.;J. Vining;I, Altman(ed.);J. F. Wohlwill (ed.)
  48. the Landscape We see Eckbo, G.
  49. Urban Forestry Gene, W. Grey.;Fredrick, J. Deneke
  50. J. For. v.49 Borders and Openning of Beechmaple Woolands in Southern Michigan Gysel, L. W.
  51. Landscape Design Hannebaum, L.
  52. Textbook of Dendrology Harlow, W. M.;E. S. Harrar;F. M. White
  53. Ann, Rev. Entomol v.34 Guilds: The Multiple Meanings of a Concept Hawkins, C. P.;NacMahon, J. A.
  54. ASHRAE Transaction v.96 The Wind Shielding and Shielding Effects of Trees on Residential Heating and Cooling Requirements Huang, J.;H. Akbari;H. Taha
  55. Cooling Our Communities The Benefits of Urban Trees Huang, J.;R. Ritschard;N. Sampson;H. Taha;H. Akbari(ed);S. Davis(ed.);S. Dorsano(ed.);J. Huang(ed.);S. Winnett(ed.)
  56. Journal of Arboriculture v.24 no.4 Atmospheric Carbon Dioxide Reduction by Sacramento's Urban Forest McPherson, E. G.
  57. Urban Forestry: Planning and Managing Urban Greenspaces Miller, R. W.
  58. Journal of Environment Management v.37 Atmospheric Carbon Reduction by Urban Trees Nowak, D. J.
  59. Proc. Symp. Role Trees South's Urban Environ Ecological Principles and the Urban Forest Odum, E. P.
  60. Plant/People/ and environmental Quality Robinette, G. O.
  61. Proc. Natl Urban For. Conf. Urban Vegetation and Air Quality Smith, W. H.
  62. 建築家のための造園設計資料集 豊田莘夫
  63. 植栽の 設計·施工·管理 中島 宏